지방은행, 사활 건 지역고객 유치전 .. 독자생존 차원
입력
수정
"지역내 시장점유율을 높여라"
지방은행들이 지역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독자생존의 발판을 확고히 다지기 위한 것이다.
지난해 11월말 기준으로 광주 대구 제주은행이 그나마 시장점유율 30%를
넘고 있을 뿐이다.
광주은행은 광주.전남지역 은행권 은행예금에서 36%의 비중을 기록했다. 대구은행은 대구.경북지역에서 31%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제주은행은 제주지역내 다른 은행 지점이 적은데 힘입어 36.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산은행은 부산시에서 28.8%, 전북은행은 전북 도내에서 25.6%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데 그치고 있다. 경남은행은 경남도내에서 26.4% 수준이다.
금융계 관계자는 "지방은행이라면 지역내 시장점유율이 30%는 넘어야 독자
생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회사가 파산할 경우 예금자에게 보장해 주는 원리금이 내년부터
2천만원으로 제한되는 점도 지방은행에게 부담이 되는 요인이다. 부산은행 심상흔 종합기획부장은 "내년부터 예금자보호 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고객들이 거래 은행을 바꾸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며 앞으로 지방
은행과 다른 금융회사간 치열한 수신경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지방은행들은 올해 일제히 "지역밀착경영"을 내세우며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대구은행은 고객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을 구축, 각 고객의 특성에 맞는
원스톱금융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부산은행도 전자금융서비스를 대폭 강화해 개인및 기업고객을 적극 끌어
들이기로 했다.
전북은행도 지역중소기업부문과 소매금융을 강화키로 했다.
경남은행도 목표고객을 설정해 이 분야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병연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방은행이 지역내 입지를 강화하면서 제휴
상대를 찾는 것도 상당히 중요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26일자 ).
지방은행들이 지역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독자생존의 발판을 확고히 다지기 위한 것이다.
지난해 11월말 기준으로 광주 대구 제주은행이 그나마 시장점유율 30%를
넘고 있을 뿐이다.
광주은행은 광주.전남지역 은행권 은행예금에서 36%의 비중을 기록했다. 대구은행은 대구.경북지역에서 31%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제주은행은 제주지역내 다른 은행 지점이 적은데 힘입어 36.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산은행은 부산시에서 28.8%, 전북은행은 전북 도내에서 25.6%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데 그치고 있다. 경남은행은 경남도내에서 26.4% 수준이다.
금융계 관계자는 "지방은행이라면 지역내 시장점유율이 30%는 넘어야 독자
생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회사가 파산할 경우 예금자에게 보장해 주는 원리금이 내년부터
2천만원으로 제한되는 점도 지방은행에게 부담이 되는 요인이다. 부산은행 심상흔 종합기획부장은 "내년부터 예금자보호 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고객들이 거래 은행을 바꾸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며 앞으로 지방
은행과 다른 금융회사간 치열한 수신경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지방은행들은 올해 일제히 "지역밀착경영"을 내세우며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대구은행은 고객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을 구축, 각 고객의 특성에 맞는
원스톱금융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부산은행도 전자금융서비스를 대폭 강화해 개인및 기업고객을 적극 끌어
들이기로 했다.
전북은행도 지역중소기업부문과 소매금융을 강화키로 했다.
경남은행도 목표고객을 설정해 이 분야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병연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방은행이 지역내 입지를 강화하면서 제휴
상대를 찾는 것도 상당히 중요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