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경제 '해킹 충격'] 갈수록 범죄화..'국내 해킹 실태'

국내에서도 해킹 피해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상대방 시스템에 침입하는 단순 해킹에서 시스템을
아예 망가뜨리거나 정보를 빼내가는 인터넷 범죄로 번져가고 있는 양상이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인터넷뱅킹 사이버증권 등이 늘면서 타인의 개인정보
를 빼내 돈을 훔치는 해킹도 잦아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에서 발견된 해킹은 5백72건.

지난 1998년(1백58건)에 비해 3배이상 늘어난 수치다. 올해는 1천1백여건을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해킹 증가속도보다 빠른 것이다.

그러나 실제 해킹 발생건수는 지난해에만 1만여건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국정보보호센터의 임채호 기술지원팀장은 "보고된 사이버폭력 피해사례는
실제 발생건수의 5%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마저도 상당수가 회국의 협력기관으로부터 해킹 등의 정보를 넘겨받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발견되고 있다.

기업이나 개인이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에 시스템 침입을 당하거나 기업의
경우 신뢰도 추락을 우려, 대부분 피해사실을 숨기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업체나 기관이 당하고 있는 가장 흔한 해킹 수법은 외국 해커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당하는 것.

지난해 12월말 서울의 중소정보통신업체인 S사는 미국 해커의 침입을 받아
시스템이 완전히 못쓰게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해커는 미국 MIT를 공격하기 위해 S사를 경유하면서 이 회사의 시스템에
비밀 패스워드를 심어 놓고 추적을 피하기 위해 핵심 파일들을 모두 지웠다.

이같은 유형의 해킹은 지난해에만 1백83건에 달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해킹은 타인의 사용자암호를 몰래 빼내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지난해 10월 대전의 한 대학생은 PC통신을 경유해 한 인터넷뱅킹 거래자의
컴퓨터에 들어가 개인정보를 확보한뒤 은행계좌를 자동이체하는 방식으로
1천5백여만원을 챙기다 적발되기도 했다.

지난달 31일에는 한나라당 홈페이지 내용이 모두 날아가고 지난해말에는
행정자치부 헌법재판소 등의 홈페이지가 못쓰게 되는 등 이제 정부기관까지
무차별적으로 해킹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