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1일자) 제3시장 투자자 보호장치를

제3시장이 지난 29일 막을 올렸다.

우선은 4개회사로 문을 열었지만 내주 월요일에는 다시 5개 종목이 추가지정되는 등 거래종목이 늘어나면서 점차 시장의 뼈대를 갖추어갈 전망이다. 불과 이틀 동안의 거래양상 만으로 이 시장을 평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하겠으나 주가의 급.등락이 과도하게 크고 호가 공백이 확대되는등 매우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적지않은 우려가 제기된다.

일부 종목은 하루 중에도 주당 2백원에서 최고 10만원까지 널뛰기를 했고 기준가격 대비 수만%의 급등세를 보였던 종목도 있었다니 일부에서는 투전판도 이런 투전판이 없다는 냉소적인 표현을 하게도 됐다.

증권 전문가들은 첫날 거래의 상당부분이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리려는 소위 작전성 매매라는 분석들을 내놓고 있지만 지나친 주가급등락이 오히려 투자자의 관심을 차단하지나 않을지 걱정된다. 정식 명칭이 "장외호가 중개시스템"인 이 시장은 원래는 코스닥이나 거래소에서 퇴출되는 기업 주식에 대해 환금의 기회라도 보장해주자는,다소는 절박한 동기에서 구상되었으나 막상 신청을 받고보니 신생 기업들과 인터넷 공모 기업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으로 그 성격이 전환된 채 막을 열게 된 것이다.

그러나 바로 이런 점 때문에 다른 어떤 시장보다 주가 변동성이 크고 또 불안정한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 기업들의 재무적 안정성이 극히 취약한 것은 물론이고 기업공시 제도가 전무하다시피 한데다 상.하한가 등 가격제한조치 마저 없어 주가의 급.등락과 조작 가능성은 거의 예고된 것이나 다를 바 없다는 점은 이 시장의 최대 약점이라고 하겠다. 시장운영자인 증권업협회는 물론 금융감독원조차 아무런 주가 감시 체제를 갖추지 않고있다니 언제든 대형 사고가 터질 가능성은 활짝 열려있는 꼴이다.

본란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그동안에도 "시장 개설을 서두를 이유는 없다"는 요지의 주장을 펴왔으나 기왕에 시장이 열렸다면 지금이라도 최소한의 안전 장치는 갖추는 것이 옳다고 본다.

당국은 "의사결정은 투자자들의 몫이며 제3시장은 다만 거래를 원활하게 해주는 매매중계 장치일 뿐"이라는 말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으나 외형상 증권거래소와 유사한 구조를 띠고 있다면 공시제도등 최소한의 장치는 갖추어 놓는 것이 시장개설자가 가져야할 기본 책임임도 분명하다.

더욱이 코스닥과 제3시장,그리고 인터넷 주식공모에 이르기까지 위험성이 더욱 높은 시장으로 매기가 흐르도록 조장 방치하는 것은 결코 온당한 정책 방향이라고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