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희노애락 몸짓으로 표현" .. 독일 천재 안무가 '피나 바우쉬'
입력
수정
현대무용의 신화,20세기 무용계의 살아있는 전설.
독일이 낳은 천재 안무가 피나 바우쉬(60)가 서울을 찾았다. 1979년 세종문화회관에서 "봄의 제전"을 선보인후 21년만이다.
두번째 내한공연인 LG아트센터 개관기념 공연(4월3~6일)을 앞두고 31일 기자회견을 가진 바우쉬는 자그만 체구에 말수가 적었지만 힘있는 카리스마로 좌중을 사로잡았다.
"모든 예술의 궁극적인 주제는 결국 인간입니다. 기쁨 슬픔 걱정 희열처럼 동시대 인간들이 느끼는 감정을 몸짓으로 표현하고자 합니다"
1970년대초 연극과 무용의 경계를 넘나드는 "탄츠테아터(무용극)"라는 새로운 장르로 세계 무용계에 일대 혁명을 일으켰던 바우쉬는 "작품을 만들때는 늘 "왜 어떻게"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집니다.
관객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보다 확실히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찾던 중 탄츠테아터라는 형식을 찾게 되었습니다"고 설명했다. 작품의 의미나 뜻을 설명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그는 "사람들의 느낌은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며 "의미를 규정짓는 순간 작품의 범위도 줄어들고 만다"고 덧붙였다.
이번 서울공연에서는 자신의 대표작이자 가장 많이 공연되는 "카네이션(원제 Nelken )"을 선보인다.
독일에서 공수해온 8천송이의 카네이션이 무대를 뒤덮고 한국어 대사도 첨가했다.최근 각국 도시를 주제로 작품을 만들고 있는 바우쉬는 "기회가 닿는다면 서울을 주제로 한 작품도 만들고 싶다"고 말을 맺었다.
독일이 낳은 천재 안무가 피나 바우쉬(60)가 서울을 찾았다. 1979년 세종문화회관에서 "봄의 제전"을 선보인후 21년만이다.
두번째 내한공연인 LG아트센터 개관기념 공연(4월3~6일)을 앞두고 31일 기자회견을 가진 바우쉬는 자그만 체구에 말수가 적었지만 힘있는 카리스마로 좌중을 사로잡았다.
"모든 예술의 궁극적인 주제는 결국 인간입니다. 기쁨 슬픔 걱정 희열처럼 동시대 인간들이 느끼는 감정을 몸짓으로 표현하고자 합니다"
1970년대초 연극과 무용의 경계를 넘나드는 "탄츠테아터(무용극)"라는 새로운 장르로 세계 무용계에 일대 혁명을 일으켰던 바우쉬는 "작품을 만들때는 늘 "왜 어떻게"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집니다.
관객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보다 확실히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찾던 중 탄츠테아터라는 형식을 찾게 되었습니다"고 설명했다. 작품의 의미나 뜻을 설명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그는 "사람들의 느낌은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며 "의미를 규정짓는 순간 작품의 범위도 줄어들고 만다"고 덧붙였다.
이번 서울공연에서는 자신의 대표작이자 가장 많이 공연되는 "카네이션(원제 Nelken )"을 선보인다.
독일에서 공수해온 8천송이의 카네이션이 무대를 뒤덮고 한국어 대사도 첨가했다.최근 각국 도시를 주제로 작품을 만들고 있는 바우쉬는 "기회가 닿는다면 서울을 주제로 한 작품도 만들고 싶다"고 말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