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서울로 집중...지역금융 위기 .. 서울 수신증가율 34%

돈이 서울에만 몰리고 있다.

지역금융은 위축수준을 넘어 붕괴위기에 직면해 있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한햇동안 서울지역 은행수신 규모는 34%나 증가했다.

반면 지방은행의 경우 22% 늘어나는데 그쳤다.

서울지역 수신증가율은 전년도(30.4%)보다 가속화된 반면 지방은 전년(23.8%)보다 하락한 셈이다. 이에 따라 전체 은행수신중 서울이 차지하는 비중은 1년새 50%에서 52.4%로 높아졌다.

한은은 "경제의 수도권 집중 현상 외에 내년부터 금융기관이 파산할 경우 고객이 되찾을 수 있는 예금액 한도가 2천만원으로 축소되면서 뭉칫돈이 우량 시중은행으로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벤처열풍과 함께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벤처캐피털도 전체 1백7개 가운데 93개가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양극화 현상은 서민금융기관에서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말 현재 대전과 대구지역 신용금고의 수신고(잔액기준)는 1년전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광주와 부산지역 금고들도 20%가 넘는 수신 감소에 몸살을 앓고 있다. 같은 기간중 서울지역 금고들의 수신감소율이 2%에 불과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대구의 한 금고 사장은 "지난주에도 10억원짜리 정기예금자가 만기가 되자마자 돈을 빼가는 등 고액 예금자들이 줄줄이 빠져 나가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에 따라 일부 지방 금융기관중에는 고객이탈을 막기위해 대출금리보다 높은 예금금리를 제공하는 곳도 나오고 있다.

역마진을 감당하기 위해 무리하게 유가증권 투자를 하는 지역금융기관도 많다.

금융산업의 대형화.겸업화와 전자금융의 확산도 지역금융기관을 위축시키는 요인이다.

특히 인터넷 금융의 발달은 지역에서 조성된 자금이 전자금융을 통해 서울로 집중되는 현상을 부추길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은 관계자는 "전체 금융기관의 예금 및 대출중 63% 가량이 수도권에 몰려 있어 수도권의 소득비중(46%)에 비하면 과도한 집중현상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박원석 수석연구원은 "지역금융 서비스의 수요자는 중소기업과 가계 등 서민층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며 "서민경제 안정을 위해서도 지역금융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유병연 기자 yooby@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