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Views] 총선후 경제정책향방 주목

총선을 앞두고 나라 안이 어수선하다.

구제역은 서해안 지역을 강타했고 대규모 산불은 강원도를 휩쓸었다. 파업의 열풍은 식을 줄 모르고 전국을 덮어버린 황사는 사상 최악이다.

4.13 총선을 앞두고 정당과 후보들의 경쟁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지만 유권자들의 반응은 예상외로 차갑다.

처음에는 국부유출론과 경제위기론으로 정책대결 양상을 띠는가 했다. 선거사상 처음으로 후보들의 병역 납세 전과 기록도 공개됐다.

그러나 선거전은 결국 상대방 헐뜯기로 마감되는 모양새다.

경제계 시선은 오히려 총선후 정부 경제정책의 우선 순위에 모아지고 있다. 선거가 끝나면 무엇보다 남북경협이 관심사로 떠오르게 된다.

정부는 김대중 대통령의 베를린선언 이후 수차례에 걸쳐 "총선 직후"를 강조해온 터다.

북측이 30억달러 규모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요청해왔다는 보도도 있었다.남북정상회담의 가능성도 어느때보다 높다.

정부가 어떤 보따리를 풀어놓을지 궁금하다.

재계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곧 남북경협위원회를 열어 구체적인 경협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북측에 투자계획서를 보낸 실향 기업인들도 초청장이 오면 5월께 방북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금고업계 활성화 방안을 내놓는다.

우풍상호신용금고 사태로 불거졌지만 금고업계의 어려움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용근 금융감독위원장의 이야기가 재미있다.

72년 사채시장 양성화 당시 금고영업권에 수십억원의 프리미엄이 붙었지만 이제는 거저 줘도 안가져 간다나.

어쨌든 금고는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존립 가치가 있다는게 정부의 판단이다.

방안이 마련되면 금고가 어려움에서 벗어날 것이라는데 두고 볼 일이다.

건설교통부는 도시재개발법 시행령 개정안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이미 도시재개발법을 통해 외국인등 민간부문의 재개발사업 참여가 허용됐지만 허용대상 사업규모와 방법 범위 등에 대해 관련업계가 비상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은행권은 단위형 금전신탁 자금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2일부터 만기가 돼 돌아오는 단위형 금전신탁의 수탁고는 모두 15조7천억원대다.

이 가운데 이달에만 5조4천억원이 만기가 돼 돌아온다.

은행권은 이 자금 대부분이 다시 은행 신탁권으로 유입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은행간 차별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게 일부 은행의 걱정이다.

은행간 금리 인하경쟁도 볼만하다.

주택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인하키로 했다.

한빛은행에 이어 하나은행과 조흥은행도 10일부터 주택청약예금과 부금 금리를 내리기로 했다.

파업은 이번주에도 핫이슈다.

자동차 회사 노조는 지난주에도 사흘간 파업을 벌였다.

현대 기아 대우 쌍용 등 자동차 4사 노조는 총선 유세가 절정에 달한 시점을 적극 활용한다는 생각이어서 파업은 더 길어질 것 같다.

직장의료보험 노조도 10일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간다.

대부분 민원서비스의 중단이 불가피해 직장의보 가입자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서울지하철 노조등이 파업을 철회하긴 했지만 불씨는 여전하다.

노동계의 이번 파업은 총선과 무관치 않다.

시끄러울 것이라는 얘기다.

산업계의 최대 주목거리는 몇달째 끌어오는 삼성차 처리 문제다.

삼성차 채권단과 삼성물산은 오는 11일 협상을 재개해 삼성차 공익채권.채무 조정문제를 논의한다.

합의점에 도달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이 문제가 해결되면 프랑스 르노와도 당장 합의가 가능하다.

10일에는 한국기술거래소가 문을 열고 본격적인 기술거래 업무를 시작한다.

기술거래소는 기술의 이전과 거래,평가 등을 통해 사장된 기술의 사업화와 각종 기술의 적재적소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정호 기자 jhkim@ked.co.kr

---------------------------------------------------------------

[ 체크포인트 ]

10일 - 한국기술거래소 개소

11일 - 삼성차 채권단-삼성물산 협상

13일 -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
- 그린스펀 미 FRB의장, 의회 증언15일 - G7 재무장관 회담(워싱턴)

16일 - IMF.IBRD 총회 개막(~17일 워싱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