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창업형 투자 '미미' .. 10%에도 못미쳐

외국인 직접투자 가운데 기업창설형(Greenfield Investment) 투자가 10%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형 투자는 부실기업 매각이나 외국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투자에 비해 국가경제에 대한 기여도가 높아 이를 적극 유치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2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월 외국인직접투자액 11억2천만달러 가운데 창업형 투자는 3천1백만달러로 2.7%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2월의 경우도 전체 투자액 6억2천7백만달러 가운데 기업창설형은 7백만달러에 불과했다.

3월에는 9억8천만달러중 창업형이 숫자상 5억달러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미국 네이버스 컨소시엄이 한보철강 자산 인수를 위해 한국현지법인을 설립한 것을 제외하면 실제 창업형 투자는 5천만달러에도 못미칠 것으로 추산됐다.

민간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97년 외환위기이후 외국인직접투자가 크게 늘었으나 대부분 합작이나 부실기업 인수 형태"라며 "부실기업을 해외에 매각해 정상화하는 것도 국가경제에 큰 도움이 되지만 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기술이전 등을 위한 창업형 투자유치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영국 등 유럽연합(EU)이나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들은 창업형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생산시설을 새로 세우거나 생산 및 영업거점으로 활용하려는 해외기업에 적극적인 지원책을 제시하고 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경우 거점형투자에 대해선 배당금 및 로열티수입에 대한 세금감면과 고정자산 신규 취득때 소득공제 등의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기업창설형 투자는 고용과 수출, 기술이전 측면에서 국가경제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산자부는 창업형 외국인투자를 늘리기 위해 올해에만 5백억원의 재정자금을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하는 등의 다각적인 대책을 내놓고 있으나 실질적인 성과는 없는 상태다. 산자부 관계자는 "2백대 전략적 유치기업을 선정해 투자유치 작업을 벌이는 한편 글로벌소싱 차원에 한국투자에 관심이 있는 일본 부품.소재기업들도 적극 유치할 계획"이라며 "세제 금융 노동 통관 등 10개 분야의 애로점을 파악해 외국인 창업형 투자 유치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