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성장률] '이달 금리 얼마나 올릴까'
입력
수정
16일 연준리(FRB) 회의를 앞두고 이번처럼 금리인상폭을 놓고 엇갈리는 경우는 드물다.
현재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국경제를 보는 시각에 따라 크게 두가지 견해로 나눠져 있다.우선 미국경제의 장기호황 국면에서 과열론을 우려하는 견해는 0.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 들이고 있는 분위기다.
CNBC, 다우존스 뉴스와이어스 등 최근에 시장참여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한 결과를 보면 이같은 예상이 지배적이다.
반면 미국경제를 안정적으로 보는 견해는 이번 회의에서도 종전처럼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로렌스 서미스를 비롯한 대부분 미국의 정책당국자들이 갖고 있는 시각이다.
과거의 예로 볼 때 FRB가 금리를 변경할 경우에는 두가지 요인을 고려한다.
하나는 인플레 정도다.다른 하나는 인플레를 감안해 금리를 올린다 하더라도 미국증시나 미국경제가 미치는 영향이다.
반드시 연착륙(soft-landing)의 달성여부를 염두해 금리인상폭을 결정한다.
단순히 인플레 요인만 감안한다면 이번에는 0.5%포인트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인다.각종 인플레 지표중 미 연준이 가장 중시하는 고용비용지수(ECI)가 금년 1.4분기에는 1.4%로 당초 예상수준인 0.9%를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금리가 0.5%포인트 인상했을 경우 과연 미국증시가 감내해 낼 수 있느냐 여부다.
지난해 6월말 이후 다섯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했을 때와 달리 이번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미국증시가 불안하다.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을 경우 주가가 의외로 큰 폭으로 떨어져 미국경제가 경착륙(hard-landing)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바로 이 대목이 현재 국제 금융시장참여자들이 인플레 요인만 감안한다면 이미 0.5%포인트의 금리인상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듯한 인상을 보이고 있는 그린스펀 의장이 16일 회의에서 실제로 단행하느냐 여부를 확신하지 못하는 이유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ked.co.kr
현재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국경제를 보는 시각에 따라 크게 두가지 견해로 나눠져 있다.우선 미국경제의 장기호황 국면에서 과열론을 우려하는 견해는 0.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 들이고 있는 분위기다.
CNBC, 다우존스 뉴스와이어스 등 최근에 시장참여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한 결과를 보면 이같은 예상이 지배적이다.
반면 미국경제를 안정적으로 보는 견해는 이번 회의에서도 종전처럼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로렌스 서미스를 비롯한 대부분 미국의 정책당국자들이 갖고 있는 시각이다.
과거의 예로 볼 때 FRB가 금리를 변경할 경우에는 두가지 요인을 고려한다.
하나는 인플레 정도다.다른 하나는 인플레를 감안해 금리를 올린다 하더라도 미국증시나 미국경제가 미치는 영향이다.
반드시 연착륙(soft-landing)의 달성여부를 염두해 금리인상폭을 결정한다.
단순히 인플레 요인만 감안한다면 이번에는 0.5%포인트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인다.각종 인플레 지표중 미 연준이 가장 중시하는 고용비용지수(ECI)가 금년 1.4분기에는 1.4%로 당초 예상수준인 0.9%를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금리가 0.5%포인트 인상했을 경우 과연 미국증시가 감내해 낼 수 있느냐 여부다.
지난해 6월말 이후 다섯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했을 때와 달리 이번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미국증시가 불안하다.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을 경우 주가가 의외로 큰 폭으로 떨어져 미국경제가 경착륙(hard-landing)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바로 이 대목이 현재 국제 금융시장참여자들이 인플레 요인만 감안한다면 이미 0.5%포인트의 금리인상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듯한 인상을 보이고 있는 그린스펀 의장이 16일 회의에서 실제로 단행하느냐 여부를 확신하지 못하는 이유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