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 수익우선 전문경영 강화 .. 지배주주없어 정부간섭 우려
입력
수정
정부가 포항제철 민영화 방안을 확정함에 따라 세계최대의 철강회사인 포항제철이 설립 32년만에 정부소유에서 벗어나 이달말 민간회사로 탈바꿈하게 됐다.
포철은 민영화이후 세계1위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주주가치를 우선시하는 전문경영인 체제로 대변신을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가 경제력 집중 배제라는 명분아래 소유지분을 분산시킴으로써 포철이 완전한 민영체제를 정착시키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경영권은 누가 갖나 =자산 20조원대(99년말 계열사 포함)의 거대기업 포철은 민영화후 "소유와 경영이 완전분리"된 형태의 순수 민간회사로 거듭난다.
민영화이후 지분구조를 보면 대부분 기관투자가로 구성된 외국인이 50%를 갖고 나머지는 국내 기관투자가 등 민간이 소유한다. 포항제철이 자사주 형태로 10.3%(소각분 3% 제외)를 소유,명목상 최대주주가 돼나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다.
게다가 1인당(법인포함) 동일인 소유한도가 2001년까지 3%로 제한돼 있어 뚜렷한 지배주주가 출현하기 어렵게 돼있다.
이에 따라 포철은 소유가 분산된 이상적인 선진국형 기업지배구조로서 이사회 중심의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될 것이라고 포철은 밝혔다. 포철측은 신일본제철(포철지분 1%미만 소유)등 외국 철강회사의 전략적 제휴를 맺어 세계 철강시장에서 부동의 세계 1위 경쟁력을 유지할 방침이다.
민간회사 포철의 전략은 =포철은 민영화를 계기로 전문경영인 중심의 책임경영을 펼친다는 전략을 짜놓고 있다.
유상부 포철 회장은 "포철이 추진하는 선진국형 글로벌 전문경영체제(GPM)의 핵심은 효율적인 이사회 운영"이라고 강조했다. 쉽게 말해 더 많은 이익을 내는 주주가치 최우선경영으로 경영을 펼친다는 취지다.
이런 점에서 국내 철강회사의 원가경쟁력을 감안해 내수판매 가격을 국제시세보다 낮게 유지해온 가격전략을 수정할 가능성도 있다.
최근 미국 살로먼스미스바니 등 월가의 분석가들은 지난해 국제 철강시세는 4~5% 정도 상승한 반면 포철은 내수 가격을 그대로 유지했다면서 내수가격의 인상가능성을 예상하기도 했다.
완전한 민영화인가 =포철이 민영화되면 법률상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날수 있다.
국회의 국정감사를 받지 않게 되고 감사원 정기감사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돼 자율경영을 펼칠 수 있다.
대신 공정거래법상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지정돼 계열사간 부당내부거래 등에 대해 정부의 감시를 받게 된다.
포철은 지난해말 현재 자산기준으로 한진그룹에 이어 재계 서열 5위에 랭크됐다.
포항제철은 지난 68년 경제발전계획에 따라 상법상 주식회사로 출발했다.
그러나 정부가 지분을 갖는 관계로 공공성격을 띤 공기업으로 분류됐다.
이런 근거로 정부가 시시콜콜 포철 경영에 간섭해왔다.
이같은 관행이 포철 민영화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
정부가 우월적 지위를 이용,행정지도 명목으로 뚜렷한 주인이 없는 포철에 얼마든지 입김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실제 정부는 지난 70,80년대 시중은행의 주식을 민간에 팔았으나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고 간섭한 적이 있다.
그래서 포철의 민영화는 소유권만 민간에 넘어간 "민유화"지 진정한 의미의 민영화는 아니라고 지적했다(황인학 한국경제원 연구위원). 미국의 격주간 경제지인 포브스지는 올 1월 포철이 민영화돼도 포철 경영진은 수많은 정치인 및 기업인들로부터 도전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했다.
포철은 민영화이후 세계1위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주주가치를 우선시하는 전문경영인 체제로 대변신을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가 경제력 집중 배제라는 명분아래 소유지분을 분산시킴으로써 포철이 완전한 민영체제를 정착시키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경영권은 누가 갖나 =자산 20조원대(99년말 계열사 포함)의 거대기업 포철은 민영화후 "소유와 경영이 완전분리"된 형태의 순수 민간회사로 거듭난다.
민영화이후 지분구조를 보면 대부분 기관투자가로 구성된 외국인이 50%를 갖고 나머지는 국내 기관투자가 등 민간이 소유한다. 포항제철이 자사주 형태로 10.3%(소각분 3% 제외)를 소유,명목상 최대주주가 돼나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다.
게다가 1인당(법인포함) 동일인 소유한도가 2001년까지 3%로 제한돼 있어 뚜렷한 지배주주가 출현하기 어렵게 돼있다.
이에 따라 포철은 소유가 분산된 이상적인 선진국형 기업지배구조로서 이사회 중심의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될 것이라고 포철은 밝혔다. 포철측은 신일본제철(포철지분 1%미만 소유)등 외국 철강회사의 전략적 제휴를 맺어 세계 철강시장에서 부동의 세계 1위 경쟁력을 유지할 방침이다.
민간회사 포철의 전략은 =포철은 민영화를 계기로 전문경영인 중심의 책임경영을 펼친다는 전략을 짜놓고 있다.
유상부 포철 회장은 "포철이 추진하는 선진국형 글로벌 전문경영체제(GPM)의 핵심은 효율적인 이사회 운영"이라고 강조했다. 쉽게 말해 더 많은 이익을 내는 주주가치 최우선경영으로 경영을 펼친다는 취지다.
이런 점에서 국내 철강회사의 원가경쟁력을 감안해 내수판매 가격을 국제시세보다 낮게 유지해온 가격전략을 수정할 가능성도 있다.
최근 미국 살로먼스미스바니 등 월가의 분석가들은 지난해 국제 철강시세는 4~5% 정도 상승한 반면 포철은 내수 가격을 그대로 유지했다면서 내수가격의 인상가능성을 예상하기도 했다.
완전한 민영화인가 =포철이 민영화되면 법률상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날수 있다.
국회의 국정감사를 받지 않게 되고 감사원 정기감사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돼 자율경영을 펼칠 수 있다.
대신 공정거래법상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지정돼 계열사간 부당내부거래 등에 대해 정부의 감시를 받게 된다.
포철은 지난해말 현재 자산기준으로 한진그룹에 이어 재계 서열 5위에 랭크됐다.
포항제철은 지난 68년 경제발전계획에 따라 상법상 주식회사로 출발했다.
그러나 정부가 지분을 갖는 관계로 공공성격을 띤 공기업으로 분류됐다.
이런 근거로 정부가 시시콜콜 포철 경영에 간섭해왔다.
이같은 관행이 포철 민영화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
정부가 우월적 지위를 이용,행정지도 명목으로 뚜렷한 주인이 없는 포철에 얼마든지 입김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실제 정부는 지난 70,80년대 시중은행의 주식을 민간에 팔았으나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고 간섭한 적이 있다.
그래서 포철의 민영화는 소유권만 민간에 넘어간 "민유화"지 진정한 의미의 민영화는 아니라고 지적했다(황인학 한국경제원 연구위원). 미국의 격주간 경제지인 포브스지는 올 1월 포철이 민영화돼도 포철 경영진은 수많은 정치인 및 기업인들로부터 도전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