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부터 한자교육 실시하자" .. 한문교육학회 공청회
입력
수정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한국한문교육학회(회장 김상홍 단국대교수)는 14일 열린 교육용 기초한자 조정 공청회에서 초등학교에선 한자 6백자를 가르치고 기초 한자를 현 1천8백자에서 2천자로 늘리는 방안을 밝혔다. 한문교육학회는 기초한자를 2천자로 할 경우 초등학교에서 6백자,중.고교에서 8백자와 6백자를 가르치거나 중.고교에서만 각 1천자씩을 교육시키는 방안을 각각 제시했다.
또 기초한자 1천8백자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초.중.고교에서 5백자,7백자,6백자씩 가르치는 방안 현행대로 중.고교에서 각 9백자씩을 가르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한문교육학회는 발표했다.
한문교육학회의 이번 연구안은 지난 72년 교육용 기초한자가 제정된 이후 28년간 중.고교에서만 가르쳐오던 한자를 초등학교에서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할 수 있다는 의견을 처음 제시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교육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모아진 여론을 바탕으로 각계각층 인사로 구성된 한자조정위원회를 통해 오는8월 교육용 기초한자 조정내용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한국한문교육학회(회장 김상홍 단국대교수)는 14일 열린 교육용 기초한자 조정 공청회에서 초등학교에선 한자 6백자를 가르치고 기초 한자를 현 1천8백자에서 2천자로 늘리는 방안을 밝혔다. 한문교육학회는 기초한자를 2천자로 할 경우 초등학교에서 6백자,중.고교에서 8백자와 6백자를 가르치거나 중.고교에서만 각 1천자씩을 교육시키는 방안을 각각 제시했다.
또 기초한자 1천8백자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초.중.고교에서 5백자,7백자,6백자씩 가르치는 방안 현행대로 중.고교에서 각 9백자씩을 가르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한문교육학회는 발표했다.
한문교육학회의 이번 연구안은 지난 72년 교육용 기초한자가 제정된 이후 28년간 중.고교에서만 가르쳐오던 한자를 초등학교에서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할 수 있다는 의견을 처음 제시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교육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모아진 여론을 바탕으로 각계각층 인사로 구성된 한자조정위원회를 통해 오는8월 교육용 기초한자 조정내용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