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천하류 水害 위험" .. 현장 실태조사 결과 중/상류만 水防작업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된 가운데 서울의 상습 수해지역인 중랑천변에 체계적인 수방대책이 마련돼 있지 않아 하류지역에 피해가 집중될 것이라는 진단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 하천관리위원인 경기대 이종태(토목공학과) 교수팀이 중랑천에 대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해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배수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동대문구 장안동과 이문동,성북구 장위동 등 중랑천 저지대 지역의 침수위험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마다 큰 수해를 입었던 의정부와 중랑천 중상류지역에 올해초 둑 구축작업을 완료,"완충지대"가 사라져 집중호우가 있을 경우 하류쪽 유량이 급속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중랑천 지류인 당현천~우이천 구간의 하천은 폭이 좁은 데다 노원교 월계1교 녹천교 등은 교량이 낮아 범람에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지적됐다.

98년 당시 침수된 공릉동의 한천교도 물 흐름이 거의 직각으로 꺾이는 곳이어서 호우가 내릴 때 범람하기 쉽고 방학천이 합류하는 도봉구 창4동 상계교쪽도 주택들이 교량보다 낮아 범람 피해가 적지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최근 중랑천 하류 둑 인접지역에 4~5층 높이의 신축건물과 반지하 주택들이 잇따라 들어섰고 아파트 신축공사까지 진행되고 있어 하천 범람 때 피해가 가중될 것으로 조사팀은 예상했다.

98년 서울시 수해백서 편찬위원장을 역임했던 이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교량의 높이를 올리고 동부간선도로 밑에 지름 10m 정도의 큰 관(방재저류조)을 묻어 홍수 때 물을 저장하는 게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에대해 서울시는 "중랑천유역에 1천8백88억원을 들여 수방시설 설치를 끝냈거나 추진중이어서 지난 98년과 같은 수해를 입을 우려는 없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