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삼성중, 통합법인 HSD엔진 경영주도권에 갈등심화
입력
수정
선박엔진 통합법인인 (주)HSD엔진의 경영 주도권을 놓고 한국중공업과 삼성중공업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한국중공업은 지난 5일 삼성중공업에 의해 제기된 "HSD엔진의 신주발행 금지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인 창원지법에 7일 이의신청을 제기했다. 또 삼성중공업의 일방적인 경영권 주장에 대해 강력히 대응키로 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HSD엔진의 증자 절차와 방식을 놓고 한치도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협상과정이 주목된다.
한중 주장=삼성측은 최대 주주인 한중의 대표이사 선임권등 고유 경영권한은 수용하지 않으면서 미합의된 85% 특별결의사항이 마치 합의된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우중공업에 대한 신주인수권 배정결의는 HSD 엔진 주주총회에서 적법하게 합의된 사항이고 상법상 특별결의 요건은 66.7%다.
한중은 51%의 지분을 보유함으로써 상법에 따라 경영진 전원을 선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삼성과 대우에 경영진을 배려하는등 HSD엔진의 투명경영을 위해 노력해 왔다.
지분에 따른 시장경제논리에 의해 주장해야 할 권리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는데도 삼성측은 소주주의 권리만 주장하고 대주주의 권리는 제한하려 하고 있다. 삼성 주장=삼성은 경영권에 관심을 갖는 것은 아니다.
다만 통합법인 설비의 50%가량이 과거 삼성 것인 만큼 한중이 경영권 전권을 행사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또 특별결의 요건 85%는 최근 정부의 중재아래 이미 한중과 합의된 사안이다. 그런데 이제 와서 한중이 그 합의를 일방적으로 깨고있는 것이다.
조일훈 기자 jih@ hankyung.com
한국중공업은 지난 5일 삼성중공업에 의해 제기된 "HSD엔진의 신주발행 금지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인 창원지법에 7일 이의신청을 제기했다. 또 삼성중공업의 일방적인 경영권 주장에 대해 강력히 대응키로 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HSD엔진의 증자 절차와 방식을 놓고 한치도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협상과정이 주목된다.
한중 주장=삼성측은 최대 주주인 한중의 대표이사 선임권등 고유 경영권한은 수용하지 않으면서 미합의된 85% 특별결의사항이 마치 합의된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우중공업에 대한 신주인수권 배정결의는 HSD 엔진 주주총회에서 적법하게 합의된 사항이고 상법상 특별결의 요건은 66.7%다.
한중은 51%의 지분을 보유함으로써 상법에 따라 경영진 전원을 선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삼성과 대우에 경영진을 배려하는등 HSD엔진의 투명경영을 위해 노력해 왔다.
지분에 따른 시장경제논리에 의해 주장해야 할 권리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는데도 삼성측은 소주주의 권리만 주장하고 대주주의 권리는 제한하려 하고 있다. 삼성 주장=삼성은 경영권에 관심을 갖는 것은 아니다.
다만 통합법인 설비의 50%가량이 과거 삼성 것인 만큼 한중이 경영권 전권을 행사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또 특별결의 요건 85%는 최근 정부의 중재아래 이미 한중과 합의된 사안이다. 그런데 이제 와서 한중이 그 합의를 일방적으로 깨고있는 것이다.
조일훈 기자 jih@ 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