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파업' 극적 타결] 고객신뢰에 깊은 상처..'금융권 파업 후유증'

금융파업이 노정간 극적 합의로 조기에 종식됐지만 파업사태의 후유증은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파업에 참여했던 각 은행들은 고객들에게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다.고객들은 그동안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자금을 파업불참 은행으로 옮기는 추세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8일간 신한 한미 하나은행의 저축성 예금 수신고는 3천5백억원에서 6천3백억원씩 증가했다.

제일은행은 10일 하루에만 예금이 무려 1조2천8백91억원이나 늘어나기도 했다.반면 조흥 국민 외환은행 등 파업 참여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저축성예금 수신고가 2천억원에서 3천억원씩 줄었다.

기업은행과 외환은행의 노조지도부가 협상이 교착상태이던 11일 파업철회를 결정하고 조합원에게 업무복귀를 명령한 것도 이같은 시장의 반응을 우려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노조집행부가 은행의 장래를 위해 고뇌어린 결단을 내렸다"며 "앞으로 고객들에게 은행경영 정상화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는 일이 남았다"고 말했다.고객의 신뢰회복과 함께 은행 내부를 추스르는 일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그동안 은행들이 직원들의 파업참여를 막기 위해 설득하는 과정에서는 노사간, 또는 노노간 크고 작은 마찰과 갈등이 빚어졌다.

일례로 국민은행에서는 행원이 파업참여를 막는 지점장의 뺨을 때리는 사태가 벌어져 행내 홈페이지 등에서 직원들간에 격론이 벌어지기도 했다.또 주택은행에서는 금융노조 간부들이 임원실에 밀고들어가려다 충돌이 빚어져 주택은행 직원들과 금융노조 사이에 불편한 관계가 형성되기도 했다.

이와관련, 각 은행들은 파업에서 복귀한 직원들에게는 인사고과에서 불이익을 주지 않는 등 대화합정책을 펼 계획이다.

한편 국내 금융기관들의 대외적인 신뢰하락도 치유돼야 할 후유증중 하나다.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구조조정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