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따라잡기] 표류하는 '기술 韓國' .. 기술무역적자 증가 원인

기술무역수지 적자규모가 불어나는 것은 해외기술 의존도가 해마다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기술 의존도는 지난 80년대 15∼20%에서 94년 기술도입 자유화 이후 급상승해 98년엔 22.7%를 기록했다.이는 미국(4.9%)은 물론 일본 독일 프랑스의 6.9∼8.5%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기계 및 전기.전자업종의 해외기술 의존도가 다른 업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업종의 해외기술 의존도는 61.9%(97년 기준)를 기록했다.전기.전자업종의 의존도도 26.2%에 달해 제조업 평균인 21.7%를 크게 웃돌았다.

이에 비해 건설업의 경우 13.1%로 제조업 평균을 밑돌았다.

해외기술 의존도는 연간 기술도입액을 기술도입액과 연구개발투자액을 합한 금액으로 나눠 계산한다.이처럼 해외기술 의존도가 높아 수출액중 상당부분은 핵심기술 사용료로 다시 해외로 빠져 나가는 실정이다.

삼성 LG 현대 등 국내 휴대폰 ''빅3''는 지난 98년 8억달러어치를 수출해 이중 1억5천만달러를 기술료로 해외에 지급했다.

휴대폰의 경우 단말기 내부가 대부분 외제 부품으로 채워져 있고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장비들도 핵심 부품은 모두 외국산이다.휴대폰의 국산화율은 30%에 불과해 7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대표적인 ''달러 박스''로 떠오른 국내 휴대폰 산업의 이면이다.

한국 수출은 ''속빈 강정''이란 지적은 그래서 나오고 있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