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 지상주의' 고리부터 끊자..제도적 차단장치 마련돼야
입력
수정
''장관직을 걸고서라도'' 방송의 폭력성과 선정성을 바로 잡겠다는 현직 장관의 발언이 당분간 방송가에 적지 않은 파문을 일으킬 전망이다.
방송사 사장들이 자정노력을 기울이겠다는 다짐을 발표한데 이어 방송위원회도 "지금보다 심의를 엄격하게 적용하고 징계누적이 심한 방송사에는 사업권 제재와 연계시키겠다"며 눈을 치켜뜨고 있다.벌써부터 일부 방송사는 선정성과 폭력성으로 비판받고 있는 일부 프로그램을 전면 시정하고 개선되지 않을 경우 방송하지 않겠다는 반응까지 보이고 있다.
정말 국내 방송이 ''사회적으로 인내하기 힘든 위험수위''까지 온 것일까.
프로그램 제작을 담당하는 일선 PD들에게 물어도 누구 하나 속시원하게 ''아니올시다''라고 얘기하는 사람이 없다.일부 방송 관계자는 "그동안 방송을 지켜보면서 위태위태하다는 생각을 자주했었는데 결국 이런식으로 사회적인 몰매를 맞게 생겼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지난 주말 방송된 SBS ''이홍렬의 TV대발견''(사진)과 MBC ''일요일 일요일밤에''는 우리TV의 폭력성과 선정성 수위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다.
SBS ''TV대발견''은 실제 격투장면과 실리콘 젤로 가슴을 키우는 여성의 모습 등 폭력성과 선정성문제를 한꺼번에 드러낸 프로그램이라는 지적을 받았다.다음날 방송된 MBC ''일요일 일요일밤에''서는 비키니 차림 여성출연자의 한쪽 가슴을 여과없이 방송해 선정성 논란을 거들었다.
선정성,폭력성과 시청률은 불가분의 관계다.
일선 PD들에게는 ''벗기면 올라간다''는 게 정설이나 다름없다.시청률 때문에 머리를 싸매는 제작진에게 이 두가지 소재는 강렬한 유혹이다.
외부비판보다 ''낮은 시청률''이 더 두렵기 때문이다.
모 방송사 관계자는 "아예 외부 징계나 비판을 빌미로 프로그램 시청률을 띄워보겠다는 분위기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결국 현직 장관과 방송사 사장까지 나서 방송의 공익성을 외치는 상황까지 왔다.
하지만 여전히 ''얼마나 가겠어''하는 냉소적 시각이 적지 않다.
앞에서는 공익성을 외치면서 뒤에서는 ''시청률 안나온다''며 제작진을 닥달하는 모습이 우리 방송의 낯익은 풍경이기 때문이다.
''사후약방문''격인 방송위의 징계와 외부비판보다 시청률을 중시하는 방송풍토가 바뀌지 않는 한 문제의 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
매번 그랬듯이 이번에도 이미 방송사내에는 사회적 여론이 고조됐을때 소나기나 피하고 보자는 시각이 팽배하다.그래서 시청률 지상주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는 ''방송의 공익성'' 주장은 심심할때 부르는 유행가처럼 들린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방송사 사장들이 자정노력을 기울이겠다는 다짐을 발표한데 이어 방송위원회도 "지금보다 심의를 엄격하게 적용하고 징계누적이 심한 방송사에는 사업권 제재와 연계시키겠다"며 눈을 치켜뜨고 있다.벌써부터 일부 방송사는 선정성과 폭력성으로 비판받고 있는 일부 프로그램을 전면 시정하고 개선되지 않을 경우 방송하지 않겠다는 반응까지 보이고 있다.
정말 국내 방송이 ''사회적으로 인내하기 힘든 위험수위''까지 온 것일까.
프로그램 제작을 담당하는 일선 PD들에게 물어도 누구 하나 속시원하게 ''아니올시다''라고 얘기하는 사람이 없다.일부 방송 관계자는 "그동안 방송을 지켜보면서 위태위태하다는 생각을 자주했었는데 결국 이런식으로 사회적인 몰매를 맞게 생겼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지난 주말 방송된 SBS ''이홍렬의 TV대발견''(사진)과 MBC ''일요일 일요일밤에''는 우리TV의 폭력성과 선정성 수위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다.
SBS ''TV대발견''은 실제 격투장면과 실리콘 젤로 가슴을 키우는 여성의 모습 등 폭력성과 선정성문제를 한꺼번에 드러낸 프로그램이라는 지적을 받았다.다음날 방송된 MBC ''일요일 일요일밤에''서는 비키니 차림 여성출연자의 한쪽 가슴을 여과없이 방송해 선정성 논란을 거들었다.
선정성,폭력성과 시청률은 불가분의 관계다.
일선 PD들에게는 ''벗기면 올라간다''는 게 정설이나 다름없다.시청률 때문에 머리를 싸매는 제작진에게 이 두가지 소재는 강렬한 유혹이다.
외부비판보다 ''낮은 시청률''이 더 두렵기 때문이다.
모 방송사 관계자는 "아예 외부 징계나 비판을 빌미로 프로그램 시청률을 띄워보겠다는 분위기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결국 현직 장관과 방송사 사장까지 나서 방송의 공익성을 외치는 상황까지 왔다.
하지만 여전히 ''얼마나 가겠어''하는 냉소적 시각이 적지 않다.
앞에서는 공익성을 외치면서 뒤에서는 ''시청률 안나온다''며 제작진을 닥달하는 모습이 우리 방송의 낯익은 풍경이기 때문이다.
''사후약방문''격인 방송위의 징계와 외부비판보다 시청률을 중시하는 방송풍토가 바뀌지 않는 한 문제의 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
매번 그랬듯이 이번에도 이미 방송사내에는 사회적 여론이 고조됐을때 소나기나 피하고 보자는 시각이 팽배하다.그래서 시청률 지상주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는 ''방송의 공익성'' 주장은 심심할때 부르는 유행가처럼 들린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