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제조업의 군살빼기 .. 박웅서 <고합 사장>

일본과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경제의 GDP는 세계 총 GDP의 23%에 해당한다.

이는 EU의 29% 및 북미의 31%와 더불어 세계 경제가 크게 3대 권역으로 나뉘어져 있음을 반증한다.3대 권역은 모두 선진 경제와 중진 산업경제를 아우르고 있다.

위로는 첨단기술산업 IT산업 통신산업에서 아래로는 중화학 자동차 철강 조선 섬유 경공업 등 모두 한 세트씩 갖추고 있다.

산업별로 각 지역내 공동 협력체제를 갖추고 서로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쟁한다.그런데 3대 권역 중 동아시아 경제권은 북미권 EU권보다 금융 등 서비스 산업에서 뒤져 원가의 금융비용이 높다.

금융산업의 힘은 자금의 원천인 저축 총액의 크기와 질이 좋아야 한다.

또 자금사용자의 사용 방법이 효율적이어야 하며,중간 자금 중재자의 능률과 판단력이 뛰어나야 한다.동아시아권의 금융산업은 유럽의 전통 깊은 금융권,그리고 막강한 산업발달로 금융자원을 축적한 북미권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권의 성장은 유럽과 북미의 잘 성숙된 금융권의 지원으로 달성됐고,또 그들의 좋은 고객으로 총애를 받고 성장해 왔다.

1985년 이후 동남아와 중국 지역의 고도 성장기 때 일본 한국 대만 뿐만 아니라 북미와 유럽까지 가세해 경쟁적으로 투자했다.그로부터 10년 뒤 전 세계 거의 모든 산업에 심각한 설비과잉과 구조적 불황을 가져오게 했다.

기술개발이 비교적 늦은 기계 중공업 조선 화학 섬유뿐만 아니라 기술변화가 빠른 전자 통신 컴퓨터 등에서도 불황의 깊이를 과거의 2∼3년에서 5∼7년 주기로 장기화·구조화시켜 버렸다.

이제 이 구조적 초과설비의 ''불황 효과''를 어떻게 제거하느냐가 세계 경제의 공통 과제가 되고 있다.

동아시아 기업들의 과잉 투자는 세계적 불황을 낳고,그것은 북미와 유럽에 있는 ''본사''의 설비 효율을 떨어뜨렸다.

나아가 세계 주요 기업의 수익성을 떨어뜨려 월 스트리트 투자자의 손실로 나타나게 됐다.

누구 것인가는 설비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도산시켜야 하는 ''제로섬'' 상황에 온 것이다.

대답은 당연히 세계적 불황의 원인 제공자인 동아시아 지역 설비를 끄는 것이다.

그때 공교롭게도 동아시아지역 국가들에 ''외환 위기''가 닥쳤다.

경쟁력이 약한 동아시아 국가의 국제수지 적자가 누적되고,또 외환 보유고가 이내 바닥나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그 가운데서도 체면불구하고 국제수지 흑자를 방어하며 눈치없이 외환보유고를 쌓아가던 일본 대만 중국은 가까스로 환란을 모면했다.

그러나 한국의 거시경제 관리자들 처럼 ''국제수지 흑자는 인플레 유발 위험이 있다''는 희한한 논리로 대외 지불능력 준비를 소홀히 한 나라는 단기차환 거부를 통한 외환위기가 ''유발''되었다.

이 결과 일본 대만 중국의 설비는 끄지 못했지만 동남아 설비들은 가동률이 대폭 떨어졌다.

외국인들은 ''한국만이 꼭 껐어야 할 설비들을 끄지 않고 버티고 있다''고 본다.

그들은 ''한국 설비를 초저가로 매입해서 꺼놓고 그 뒤 시장이 안정되면 다시 가동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랬는데 한국 산업 및 금융권과 매입자 의견 불일치로 시기를 놓쳤다.

반면 한국 기업들은 생산설비를 계속 가동,이자라도 내려고 피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노력이라는 게 말처럼 쉽지 않다.

채무나 이자의 ''부분적 유예''를 통해 회생하고자 노력하는 기업들이 1∼2년내 영업이익을 내 이자와 원본을 갚기는 어렵다.

이제 우리는 정상 비정상 기업 모두 제2의 구조조정을 요구받는 상황에 왔다.

여기서 우리 기업이 취해야 할 전략은 분명하다.

첫째,외국 경쟁기업과 공동으로 한국 과잉 설비의 가동률을 잠정 하락시켜 제품의 시장가격을 안정시켜야 한다.

둘째,경쟁력을 상실한 설비는 하루빨리 경쟁력있는 지역으로 이전,같은 설비로 이익이 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셋째,핵심 설비를 중심으로 분사(分社),우량 회사를 만들어 직·간접 자본 시장에 매각 처리하는 방법으로 자구 노력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제적 경영 리더십과 노조의 이해와 협조 및 채권 금융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