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제 해법싸고 금감-공정위 시각차 .. 정부측 불협화음 안팎
입력
수정
현대문제를 마무리짓기 위한 정부와 현대간 협의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정부부처와 채권단간의 입장조율이 안돼 문제해결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용근 금감위원장과 전윤철 공정거래위원장은 당초 "청와대와 재정경제부, 금감위, 공정위가 그 어느때보다 탄탄한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정작 협상과정에서 일부 쟁점에 대해 목소리가 서로 달라 현대의 반발을 사고 있다.◆계열분리문제=공정위의 ''현실적 대안론''과 금감위의 ''원칙에 입각한 즉각 매각론''이 엇갈리고 있다.
전 위원장은 지난 2일 현대측이 정주영 전 명예회장의 현대차 지분 9.1%중 6.1%를 채권단에 포기각서를 첨부, 위임하겠다고 제안하자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감위측은 전 위원장의 발언을 정정, "정 전 명예회장의 확실한 지분 매각만이 해답이며 매각이 어렵다면 채권단이 일괄매입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그러자 전 위원장은 5일 "정 전 명예회장의 지분매각이 원칙이지만 매각을 전제로 지분을 채권단에 위임하거나 우선주전환 등 매각에 준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며 다시 금감위 해명을 번복했다.
이에 금감위는 6일 "계열분리는 공정위의 소관사항"이라며 물러섰다.
지분매각에 난색을 보였던 현대는 공정위의 방침대로 해결책을 모색해 오다 금감위의 거부입장이 나오자 어떤 방침을 따라야 할지 몰라 어정쩡한 상태다.◆3부자 퇴진론=채권단과 금감위의 입장이 엇갈린다.
황학중 외환은행 상무는 "시장신뢰를 회복하려면 현대가 지난 5월 국민에게 약속했던 3부자 동반퇴진도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감위의 고위 관계자는 "3부자 퇴진은 당초 정부가 원했던 것도 아니고 현대에도 별 도움이 안된다"며 "부실경영의 문제가 있는 가신그룹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
이용근 금감위원장과 전윤철 공정거래위원장은 당초 "청와대와 재정경제부, 금감위, 공정위가 그 어느때보다 탄탄한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정작 협상과정에서 일부 쟁점에 대해 목소리가 서로 달라 현대의 반발을 사고 있다.◆계열분리문제=공정위의 ''현실적 대안론''과 금감위의 ''원칙에 입각한 즉각 매각론''이 엇갈리고 있다.
전 위원장은 지난 2일 현대측이 정주영 전 명예회장의 현대차 지분 9.1%중 6.1%를 채권단에 포기각서를 첨부, 위임하겠다고 제안하자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감위측은 전 위원장의 발언을 정정, "정 전 명예회장의 확실한 지분 매각만이 해답이며 매각이 어렵다면 채권단이 일괄매입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그러자 전 위원장은 5일 "정 전 명예회장의 지분매각이 원칙이지만 매각을 전제로 지분을 채권단에 위임하거나 우선주전환 등 매각에 준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며 다시 금감위 해명을 번복했다.
이에 금감위는 6일 "계열분리는 공정위의 소관사항"이라며 물러섰다.
지분매각에 난색을 보였던 현대는 공정위의 방침대로 해결책을 모색해 오다 금감위의 거부입장이 나오자 어떤 방침을 따라야 할지 몰라 어정쩡한 상태다.◆3부자 퇴진론=채권단과 금감위의 입장이 엇갈린다.
황학중 외환은행 상무는 "시장신뢰를 회복하려면 현대가 지난 5월 국민에게 약속했던 3부자 동반퇴진도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감위의 고위 관계자는 "3부자 퇴진은 당초 정부가 원했던 것도 아니고 현대에도 별 도움이 안된다"며 "부실경영의 문제가 있는 가신그룹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