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가족 상봉] 부모님 묘소라도 찾았어야 하는데...
입력
수정
"한 번만 더. 1분 만이라도 더…"
헤어짐을 목전에 둔 이산가족들의 한결같은 소망은 재회와 통일이었다.기쁨의 순간도 잠시.
반세기를 기다렸지만 만남의 순간은 너무나 짧았다.
가족과 만나며 하염없이 흘렸던 눈물 속에 50년의 회한과 탄식을 모두 씻어 버렸다고 생각했지만 이별을 생각하니 발길을 돌릴 수 없었다.재회의 기약도 없이 헤어져야 하는 이들은 가족과 다시 건강한 모습으로 만날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만을 간절히 기원했다.
부모님이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 고향에서 성묘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이들도 많았다.
이산가족들은 또 편지라도 주고받고 면회소에서 정기적으로 가족들을 만날 날이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렸다.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많은 현 이산가족 상봉방식도 반드시 고쳐져야 한다며 안타까워했다.
◆ 재회와 통일 =동생과 상봉한 리동섭(65)씨는 "10년이면 통일이 될 것 같으니 그때까지 어머님을 잘 모셔라"고 동생에게 말한 뒤 "빨리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바람을 드러냈다.
6.25전쟁때 의용군으로 끌려갔던 형 리종필(69)씨와 상봉한 종덕(64)씨는 "아무리 이야기를 해도 시간이 지나면 아쉬움이 남는다.
잠자리를 같이하며 밤이 새도록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북측 지질학박사인 리운룡(68)씨의 동생 정호(59)씨는 "형과 이야기를 하면서 입술이 바짝 말랐다. 부디 형이 건강하게 잘 살아 죽기 전에 한 번이라도 더 봤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내비쳤다.
◆ 상봉방식 개선 =이산가족들은 좀더 자유롭게 판문점이나 개성 같은 곳에서 소풍처럼 상봉이 이뤄지고 가정방문 및 성묘 등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피력했다.
서울에서 동생 박명규(73)씨를 만난 남규씨는 "이렇게 행사가 진행되니 국가적으로 굉장한 비용이 드는 것 같다. 앞으로는 개별적으로 가정에서 만났으면 좋겠다. 수사관 하나 딸려 보내 가족.형제.부모를 만나게 해 줘야 진실한 만남이지…"라며 아쉬워했다.
남측 박성규(53)씨는 "이제 길이 열렸으니 모든 가족에게 상봉 기회가 완전히 개방돼 이번에 못 만난 나머지 가족들도 다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남측 이종덕(64)씨는 "형님과 얘기를 해도 해도 끝이 없다"며 "하룻밤이라도 같이 자면서 밤새도록 얘기하고 부모님 묘소에 성묘라도 한 번 같이 갔어야 하는데…"라고 안타까워했다.
박병련(63)씨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휠체어 타고 오가는 걸 보니 안쓰러웠다. 옛집에도 가보고 불편한 부모님을 하루라도 모실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북측 김옥배(68)씨는 "어머니 품에서 잠들고 싶어 제대로 자지도 못했다. 어머니께 밥을 해 드리고 싶다"며 눈물을 흘렸다.
◆ 서신왕래 면회소 설치 =함종태(66)씨는 "이번 만남을 계기로 서신교환, 면회소 설치는 물론 자유 왕래까지도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북측 오영재(64)씨는 "연락사무소나 이산가족 만남 정례화도 중요하지만 우선 전화와 편지의 상시 교환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에서 온 임재혁(66)씨의 형 창혁(69)씨는 "앞으로 편지를 교환하거나 면회소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면 좋겠다.
너무 짧은 만남이라 아쉬움이 크다"며 눈시울을 적셨다.
◆ 기타 =북한의 ''공훈배우''리래성(68)씨는 남북 영화교류 차원에서 2∼3년내 다시 남에 와 영화를 찍고 싶다고 밝혔고 ''인민배우'' 칭호를 받은 박섭(74)씨도 남북 합작영화가 탄생하기를 기원했다.외과의사인 홍삼중(65)씨는 안과의사인 조카(홍건수씨)와 함께 고향인 제주도에 병원을 열어 인술을 베풀며 살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
헤어짐을 목전에 둔 이산가족들의 한결같은 소망은 재회와 통일이었다.기쁨의 순간도 잠시.
반세기를 기다렸지만 만남의 순간은 너무나 짧았다.
가족과 만나며 하염없이 흘렸던 눈물 속에 50년의 회한과 탄식을 모두 씻어 버렸다고 생각했지만 이별을 생각하니 발길을 돌릴 수 없었다.재회의 기약도 없이 헤어져야 하는 이들은 가족과 다시 건강한 모습으로 만날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만을 간절히 기원했다.
부모님이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 고향에서 성묘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이들도 많았다.
이산가족들은 또 편지라도 주고받고 면회소에서 정기적으로 가족들을 만날 날이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렸다.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많은 현 이산가족 상봉방식도 반드시 고쳐져야 한다며 안타까워했다.
◆ 재회와 통일 =동생과 상봉한 리동섭(65)씨는 "10년이면 통일이 될 것 같으니 그때까지 어머님을 잘 모셔라"고 동생에게 말한 뒤 "빨리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바람을 드러냈다.
6.25전쟁때 의용군으로 끌려갔던 형 리종필(69)씨와 상봉한 종덕(64)씨는 "아무리 이야기를 해도 시간이 지나면 아쉬움이 남는다.
잠자리를 같이하며 밤이 새도록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북측 지질학박사인 리운룡(68)씨의 동생 정호(59)씨는 "형과 이야기를 하면서 입술이 바짝 말랐다. 부디 형이 건강하게 잘 살아 죽기 전에 한 번이라도 더 봤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내비쳤다.
◆ 상봉방식 개선 =이산가족들은 좀더 자유롭게 판문점이나 개성 같은 곳에서 소풍처럼 상봉이 이뤄지고 가정방문 및 성묘 등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피력했다.
서울에서 동생 박명규(73)씨를 만난 남규씨는 "이렇게 행사가 진행되니 국가적으로 굉장한 비용이 드는 것 같다. 앞으로는 개별적으로 가정에서 만났으면 좋겠다. 수사관 하나 딸려 보내 가족.형제.부모를 만나게 해 줘야 진실한 만남이지…"라며 아쉬워했다.
남측 박성규(53)씨는 "이제 길이 열렸으니 모든 가족에게 상봉 기회가 완전히 개방돼 이번에 못 만난 나머지 가족들도 다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남측 이종덕(64)씨는 "형님과 얘기를 해도 해도 끝이 없다"며 "하룻밤이라도 같이 자면서 밤새도록 얘기하고 부모님 묘소에 성묘라도 한 번 같이 갔어야 하는데…"라고 안타까워했다.
박병련(63)씨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휠체어 타고 오가는 걸 보니 안쓰러웠다. 옛집에도 가보고 불편한 부모님을 하루라도 모실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북측 김옥배(68)씨는 "어머니 품에서 잠들고 싶어 제대로 자지도 못했다. 어머니께 밥을 해 드리고 싶다"며 눈물을 흘렸다.
◆ 서신왕래 면회소 설치 =함종태(66)씨는 "이번 만남을 계기로 서신교환, 면회소 설치는 물론 자유 왕래까지도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북측 오영재(64)씨는 "연락사무소나 이산가족 만남 정례화도 중요하지만 우선 전화와 편지의 상시 교환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에서 온 임재혁(66)씨의 형 창혁(69)씨는 "앞으로 편지를 교환하거나 면회소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면 좋겠다.
너무 짧은 만남이라 아쉬움이 크다"며 눈시울을 적셨다.
◆ 기타 =북한의 ''공훈배우''리래성(68)씨는 남북 영화교류 차원에서 2∼3년내 다시 남에 와 영화를 찍고 싶다고 밝혔고 ''인민배우'' 칭호를 받은 박섭(74)씨도 남북 합작영화가 탄생하기를 기원했다.외과의사인 홍삼중(65)씨는 안과의사인 조카(홍건수씨)와 함께 고향인 제주도에 병원을 열어 인술을 베풀며 살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