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 '2기 개막'] '포스트 DJ 어떻게...'

현 정권이 집권 2기에 들어서자 여권 내부에서는 정권재창출론이 급부상하며 벌써부터 김대중 대통령의 후계자를 둘러싼 물밑경쟁이 치열하다.

민주당 최고위원을 경선하는 8.30 전당대회는 후계구도 논의의 첫 신호탄이다.김 대통령이 "이번 전당대회는 대권 및 당권과는 무관하다"며 분명히 선을 그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는 경선 후보자들의 향후 당내 입지, 나아가 차기행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게 자명하기 때문이다.

후보자들도 ''대권''이란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차기를 겨냥한 예비경선의 성격으로 보고 있다.

이인제 후보나 한화갑 후보 등이 1위 경쟁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이런 기류는 민주당 차기 대권후보는 당 총재의 지명이 아니라 경선을 통해 가시화될 것이 확실한데 따른 것이다.

자유로운 경선을 통해 차기후보를 선출하겠다는 김 대통령의 의지가 그만큼 확고하다는 얘기다.

현 정권의 뿌리인 동교동계 내부에서 정권재창출의 방법을 놓고 심각한 이견을 보이는 것도 대권 경쟁을 부추기는 또 다른 이유다.여권은 따라서 후보 선정의 최우선 고려대상을 ''경쟁력''으로 규정하고 당내외에 문호를 개방키로 방침을 정했다.

민주당이 무소속 정몽준 의원의 영입에 심혈을 기울여온 것도 일단 여권의 차기 후계군을 형성하기 위한 예비 작업의 일환으로 봐야 한다.

복수의 후보군을 경쟁시켜 국민적 관심을 집중시킴으로써 야권 후보를 압도하겠다는게 여권의 전략이라는 분석이다.개혁성향과 통일에 대한 비전도 후보자가 갖춰야 할 필요충분 조건이다.

김 대통령의 개혁작업과 햇볕정책으로 대변되는 대북 포용정책의 기조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인물이 나와야 한다는 공감대가 여권 내에 확산되고 있다.

물론 후계구도가 가시화되기까지는 여러 변수가 돌출할 수도 있다.

경제여건과 남북관계 진전의 방향과 속도, 동서 갈등의 해소 여부,한나라당의 후보구도 가시화 등 예측할 수 없는 여러 요인이 후보결정에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그러나 포스트 DJ는 당내외 후보간 치열한 물밑경쟁을 거쳐 빠르면 2002년초 그 윤곽을 드러낼 것이라는게 여권의 일반적 관측이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