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원자력안전의 날] 10년 이상된 原電 '安全性 정기 평가'

10일은 제6회 원자력 안전의 날이다.

우리나라는 전체 발전용량의 절반을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원자력 관련산업에서 쏟아내는 총 매출액도 7조5천억원(99년)에 달한다.

그러나 원자력 산업의 특성상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면 원전은 설자리를 잃을 수 밖에 없다.

99년말 현재 국내에서 가동중인 원자력발전소는 모두 16기.발전설비 용량은 1천3백71만6천㎾에 달한다.

이는 국내 전체발전설비 용량의 29.2%를 차지하는 것이다.

실제발전량은 전체 전력의 50%를 점유하고 있다.더구나 정부는 급증하는 전력수요와 환경적 문제 때문에 2015년까지 모두 4천5백13만㎾의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정부가 원자력의 점유율을 이같이 끌어올리고 있는 이유는 두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는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발전효율이 높은 원자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또 다른 이유는 기후변화협약 등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지금까지는 최적의 발전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국내 원전 설비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문제가 심심치 않게 제기되면서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월성원전에서 발생한 근로자 피폭사고가 대표적이다.

비록 원자력 피폭 안전치에 준하는 사고였지만 원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그래서 정부는 처음으로 민간단체와 합동점검에 나서는 한편 원자력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제도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원자력 안전과 관련해 가장 큰 변화는 주기적 안전성 평가제도의 도입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가동원전의 안전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전 운영국들에 도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제도다.

현재 영국 프랑스 스웨덴 일본 스위스 헝가리 등 대부분의 원전 보유국들이 이 제도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올해안에 법제화를 완료해 2002년부터 10년 이상 가동된 모든 원전에 대해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따라 원전의 최초 가동시기를 기준으로 10년마다 원전운영자가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규제기관이 심의하게 된다.

전산시스템을 이용한 원전사고 예방시스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방사능방재 기술지원 전산시스템(CARE)과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이다.

CARE는 지난 93년부터 개발에 착수, 올 8월 현재 국내 원전 13기에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이 시스템은 각 원전에서 약 2백개의 필수 안전변수정보 등을 10초 간격으로 실시간으로 수집해 처리 분석 평가함으로써 원전에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최적의 대응방안을 도출하게 된다.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은 방사선 누출 등으로 인한 비상사태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장치다.국내에서는 지난 98년부터 가동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의 감시자료는 국민들도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