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입주공간 턱없이 부족 .. '대덕밸리' 말은 좋지만...
입력
수정
대덕연구단지와 인근지역을 신산업벨트로 묶는 "대덕밸리" 구상이 구체화되고 있지만 용지난 해소 등 기반시설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전시와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는 오는 28일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이곳을 미국의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벤처밸리로 육성하기 위한 "대덕밸리 선포식"을 가질 예정이다. 엑스포과학공원 광장에 "벤처산업의 메카 대덕밸리"라는 표석을 세우고 군수마트 등의 행사를 열어 벤처붐을 조성할 예정이다.
대덕밸리는 8백34만평 크기의 연구단지를 비롯해 과학산업단지 3.4공단 엑스포과학공원 정부대전청사 등 모두 1천2백여만평의 거대단지로 묶이게 된다.
그러나 업계관계자들은 대덕밸리에 벤처기업이 입주할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제조업 기반이 약해 대덕밸리가 벤처기업의 생산거점으로 도약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단지내외에 산재한 6백여개의 연구개발형 벤처기업들이 조만간 본격적인 생산단계에 들어가게 되지만 입주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미개발 상태인 곳은 1백10만여평의 과학산업단지와 최근 개발 여부 놓고 논란이 벌이고 있는 단지내 녹지부분 정도다. 하지만 과학산업단지는 당초 개발에 관심을 보였던 현대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데다 후속개발 의사를 표명한 한화도 분명한 계획을 밝히지 않아 조기 개발이 불투명한 상태다.
현실적으로 대덕단지의 43%에 이르는 녹지공간의 일부를 써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교육.연구시설지구인 3만여평(한진그룹 부지)에 입주하겠다는 벤처기업이 과포화 상태인 것만 보아도 용지난이 얼마나 심각한 지를 짐작할 수 있다. 1천여평의 공장부지를 물색중이라는 노명래 아이피에스사장은 "대덕밸리의 부지난이 우려할 수준"이라며 "남아있는 소규모의 미개발 용지나 녹지를 활용해 환경친화적인 연구형공장을 만드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노 사장은 또 연구단지와 접한 유성의 봉명.노은지구 등도 아파트부지로만 개발할 것이 아니라 기술개발형 벤처거점으로 종합 육성하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단지 안에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권오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이 지역개발학회지에 발표한 "대덕연구단지의 연구개발 생산성과 신산업지구화 전략" 논문에 따르면 단지내 13개 정부출연연구소 기획실장들의 60%가 단지에 제조시설을 입주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신속한 제품화와 연구생산의 피드백효과를 높이려면 제조시설이 들어와야 한다는 것이다. 권 연구원은 또 단지내 대기업 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잉여부지를 분할 매각할 수 있도록 매각요건을 완화하거나 녹지구역을 풀어 중소.벤처기업이나 연구소 타운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대덕밸리뉴스 손민구 기자 hand@ddvnews.com
대전시와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는 오는 28일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이곳을 미국의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벤처밸리로 육성하기 위한 "대덕밸리 선포식"을 가질 예정이다. 엑스포과학공원 광장에 "벤처산업의 메카 대덕밸리"라는 표석을 세우고 군수마트 등의 행사를 열어 벤처붐을 조성할 예정이다.
대덕밸리는 8백34만평 크기의 연구단지를 비롯해 과학산업단지 3.4공단 엑스포과학공원 정부대전청사 등 모두 1천2백여만평의 거대단지로 묶이게 된다.
그러나 업계관계자들은 대덕밸리에 벤처기업이 입주할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제조업 기반이 약해 대덕밸리가 벤처기업의 생산거점으로 도약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단지내외에 산재한 6백여개의 연구개발형 벤처기업들이 조만간 본격적인 생산단계에 들어가게 되지만 입주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미개발 상태인 곳은 1백10만여평의 과학산업단지와 최근 개발 여부 놓고 논란이 벌이고 있는 단지내 녹지부분 정도다. 하지만 과학산업단지는 당초 개발에 관심을 보였던 현대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데다 후속개발 의사를 표명한 한화도 분명한 계획을 밝히지 않아 조기 개발이 불투명한 상태다.
현실적으로 대덕단지의 43%에 이르는 녹지공간의 일부를 써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교육.연구시설지구인 3만여평(한진그룹 부지)에 입주하겠다는 벤처기업이 과포화 상태인 것만 보아도 용지난이 얼마나 심각한 지를 짐작할 수 있다. 1천여평의 공장부지를 물색중이라는 노명래 아이피에스사장은 "대덕밸리의 부지난이 우려할 수준"이라며 "남아있는 소규모의 미개발 용지나 녹지를 활용해 환경친화적인 연구형공장을 만드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노 사장은 또 연구단지와 접한 유성의 봉명.노은지구 등도 아파트부지로만 개발할 것이 아니라 기술개발형 벤처거점으로 종합 육성하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단지 안에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권오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이 지역개발학회지에 발표한 "대덕연구단지의 연구개발 생산성과 신산업지구화 전략" 논문에 따르면 단지내 13개 정부출연연구소 기획실장들의 60%가 단지에 제조시설을 입주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신속한 제품화와 연구생산의 피드백효과를 높이려면 제조시설이 들어와야 한다는 것이다. 권 연구원은 또 단지내 대기업 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잉여부지를 분할 매각할 수 있도록 매각요건을 완화하거나 녹지구역을 풀어 중소.벤처기업이나 연구소 타운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대덕밸리뉴스 손민구 기자 hand@ddv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