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환경기술 .. 김동우 <환경비전21 사장>

김동우

환경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경기도 가평 용인 등 5개 공공 하수처리장에서 법적 수질기준을 초과한 폐수가 팔당 상수원으로 방류됐다고 한다.일부이긴 하지만 공장을 비롯한 민간 폐수처리시설의 적정처리 여부에 대한 감시와 감독권을 갖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들이 시설물의 법적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국민 세금으로 건설된 시설물들의 적절한 운영은 국민보건 및 생명,후손을 위한 환경보전과 직결되며 국민의 혈세로 운영비를 충당한다는 측면에서 높은 투명성을 요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과학적이고 지속적인 사후관리는 인력이나 예산측면에서도 미진한 상황이다.눈부신 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기술은 환경분야에도 일대 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환경부는 공장 굴뚝에 센서를 부착한 뒤 통신으로 결과를 전송해 배출되는 대기 유해 물질을 실시간 측정,모니터링하는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을 가동한데 이어 ''상하수도 종합정보시스템''구축을 추진중이다.

이 시스템은 적용된 환경기술이나 시설별 운영실적 및 비용집계 현황자료가 축적돼 효율적 분석이 가능하다.시설 자동화와 GIS(지리정보시스템)를 이용한 직접적인 예산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이는 개별 기술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자료 축적으로 비교,평가할 수 있다.

신규 환경기초기술 선정때 고질적인 병폐로 논란이 되었던 특정 업체의 특혜시비나 부정 소지를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 환경기술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아쉬운 점은 정보화에 대한 감안 없이 환경기초시설들이 설계·건설중이며 예산이 집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보화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사업부터라도 시급히 반영시켜야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추가 예산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복합응용 분야인 환경기술이 시대 흐름인 정보화의 파도를 피할 수 없다면 그 파도위에 재빨리 올라서야 할 때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