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7일자) 건강공단 단협타결의 의미

장기파업과 노사갈등으로 파행운영을 면치못했던 건강보험공단과 지역의료보험 노조간의 단체협상이 타결돼 관심을 끈다.

특히 건강공단 노사의 원만한 협상타결은 기업구조조정의 여파로 노사갈등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맺어진 결실이어서 의미가 있다.우리경제가 활력을 되찾을수 있느냐 없느냐는 노사문제를 어떻게 풀어가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개별기업 차원의 경영환경은 천차만별이겠지만 큰 테두리에서 기업구조조정의 당위성은 부인하기 어렵고,따라서 그로 인한 고용감소 또한 피할 수 없는 것이 우리가 당면한 현실이라고 보아야 마땅하다.

특히 외자유치가 불가피한 경우 외국투자자들이 노사문제를 주요 판단의 잣대로 제시하고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대우자동차 매각에 앞서 자구노력에 대한 노조의 동의를 채권은행단이 요구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지난주 발표된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노사갈등의 심화도 같은 맥락에서 노·사·정이 힘을 합쳐 합리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업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하더라도 실업을 최소화하고 국민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것 또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국가정책목표라는 점에서 정부는 실효성있는 고용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건강보험공단의 이번 노사합의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그런 뜻에서다.

지역의보노조에 대한 지금까지의 국민인식은 그다지 곱지않은게 사실이다.너무 빈번한 파업으로 의료보험 가입자들에 대해 큰 불편을 주었고,이사장 폭행사건을 일으키는 등의 과격한 행동은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공단 노사가 파업기간중 무노동무임금을 철저히 적용하는 등 원칙을 준수하면서 제3자의 중재개입없이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점만은 높이 평가할만 하다.

다만 건강보험공단의 노사는 이 기회에 그동안의 파업에 따른 국민불편이 얼마나 컸던가를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지난 98년 10월 의료보험조합이 통합된 이후 지역의보가 무려 10차례에 걸쳐 1백40여일 동안이나 파업했다는 것은 원인과 책임을 따질 필요도 없이 지탄받을 일이다.

그런 점에서 공단 노사는 지속적인 혁신과 서비스향상을 통해 책임있는 서비스기관으로 거듭나는 것만이 국민들의 불신을 해소할수 있는 첩경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노·사·정 모두가 고통분담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 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