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차 1차부도] 5천개 협력업체 연쇄도산 불가피 .. 법정관리로 가면

대우자동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금융권과 산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우선 은행권은 대우차 여신 4조7천5백99억원에 대한 추가 충당금 부담을 안게 되고 금융구조조정 일정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채권.채무 동결에 따른 5천여 협력업체의 연쇄도산도 우려된다.

◆ 금융권 손실 =은행권은 지난 9월 포드의 인수포기 이후 신규 운영자금 지원을 중단한 상태다.

지난달 4일 현재 대우차에 대한 금융권 총여신은 은행권 4조7천5백99억원을 포함, 11조9천5백46억원에 이른다.이중 1조6천3백77억원의 여신을 제공한 산업은행을 제외하면 한빛 8천4백40억원, 조흥 4천4백89억원, 외환 3천8백80억원, 서울 3천3백15억원 등 공적자금 투입은행들이 은행권 여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은행은 여신의 40∼50%를 충당금으로 쌓아놓고 있지만 대우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최소 50%이상, 신용여신의 경우 1백%까지 추가 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확한 집계는 어렵지만 4천억∼5천억원의 추가 충당금 적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협력업체 연쇄 도산 =대우자동차의 협력업체는 1차 협력업체만 5백4개. 3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5천개가 넘는다.

대우차가 부도를 내면 우선 운영자금 부족으로 공장의 가동 중단이 불가피하다.

협력업체들도 일감이 없어 라인을 세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게다가 법원이 재산보전처분을 내리면 모든 채권.채무가 동결된다.

협력업체들은 밀린 물품대금을 받을 수 없게 된다는 얘기다.

법정관리 개시결정이 내리면 진성어음은 결제가 가능하지만 적어도 한 달 이상이 걸린다.

현대와 기아에 공동으로 납품을 하고 있는 일부 대형 부품사는 사정이 낫지만 대우에만 목을 걸고 있는 협력업체들은 연쇄 도산할 가능성이 크다.자동차 부품업계는 이미 기아사태와 대우사태를 겪으며 취약해진 상태여서 자동차산업 전반에 타격이 우려된다.

박민하 기자 haha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