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대정부 질문] 사회.문화분야 : (초점) 새만금간척사업 중단 공방
입력
수정
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선 여의도 면적의 1백배 농지를 조성중인 ''새만금 간척사업''이 도마위에 올랐다.
민주당 이호웅 의원은 "새만금 간척지의 용도에 대해 농림부는 농지,전북도는 복합산업단지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해양수산부는 신항만계획까지 수립하는 등 매립목적 자체가 불확실하다"며 "그러나 매립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로 장기적으로 엄청난 경제적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한나라당 전재희 의원도 "지난 국정감사에서 새만금 간척지를 공업용지로 이용한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로 입증됐다"며 "식량확보를 위해 또 다른 식량자원인 갯벌을 파괴하는 새만금 간척사업은 구시대적 개발패러다임의 산물"이라고 지적,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장성원 의원은 지난 15일 대경제분야 질문을 통해 "공사를 현 시점에서 방치하면 예기치 못한 또다른 환경재앙을 불러온다"며 "환경개선과 병행해서 추진한다면 우리의 역량을 세계에 과신하는 대역사(大役事)를 이룰 수 있다"고 강행론을 개진했다.
김형배 기자 khb@hankyung.com
민주당 이호웅 의원은 "새만금 간척지의 용도에 대해 농림부는 농지,전북도는 복합산업단지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해양수산부는 신항만계획까지 수립하는 등 매립목적 자체가 불확실하다"며 "그러나 매립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로 장기적으로 엄청난 경제적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한나라당 전재희 의원도 "지난 국정감사에서 새만금 간척지를 공업용지로 이용한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로 입증됐다"며 "식량확보를 위해 또 다른 식량자원인 갯벌을 파괴하는 새만금 간척사업은 구시대적 개발패러다임의 산물"이라고 지적,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장성원 의원은 지난 15일 대경제분야 질문을 통해 "공사를 현 시점에서 방치하면 예기치 못한 또다른 환경재앙을 불러온다"며 "환경개선과 병행해서 추진한다면 우리의 역량을 세계에 과신하는 대역사(大役事)를 이룰 수 있다"고 강행론을 개진했다.
김형배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