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캐주얼 브랜드 "호황"..지오다노.후아유등 매출 '쑥쑥'
입력
수정
값싼 캐주얼 브랜드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오다노는 지난 11월에 2백억원(1백10개매장)의 매출을 올렸다. 94년 한국에 진출한 이래 월별로는 최고기록이다.
12월에도 매출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올 매출이 2천억원을 넘어설 것이라는게 회사측 설명이다. 후아유코리아의 후아유도 5개 매장에서 점포당 하루 3천만원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1백평짜리 동대문점의 경우 주말 매출이 6천만원을 넘어서고 있다.
월 5천만원선인 캐주얼브랜드의 평균매출 비해 훨씬 많다. MK트렌드의 TBJ와 아이겐포스트도 20%이상매출이 늘어나고 있다.
4.4분기 들어서면서 중고가 캐주얼 의류가 부진한 것과는 판이하다.
◆가격으로 차별화한다=폴라플리스점퍼 가격은 1만∼2만원대.겨울용 더플코트는 9만원에 살 수 있다.
백화점에서 팔리고 있는 캐주얼의류의 절반값이다.
오리털파카도 4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다.
일부 품목의 경우 밀리오레나 두산타워등 동대문 쇼핑몰보다 싸다.
아이겐포스트의 김봉구 영업팀장은 "구경삼아 잠깐 들렀다가도 두세벌 정도는 부담없이 사갈 수 있는 가격대를 설정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탄력적인 가격조정도 저가캐주얼브랜드 특징의 하나.
후아유코리아는 한달전 2만9천8백원에 내놓았던 겨울바지 값을 1만5천8백원으로 인하했다.
판매가 부진하자 과감하게 값을 내린 것.
가격조정후 5일만에 겨울바지 2천장이 동나버렸다.
◆비용을 최소화한다=후아유는 중국 홍콩 북한 싱가포르 등 7개국에 생산기지를 갖고 있다.
일본의 유니크로나 미국의 갭처럼 글로벌 아웃소싱을 하고 있는 것.
러닝셔츠는 미국에 주문하고 손이 많이 가는 니트는 공임비가 싼 중국에서 만들고 있다.
후아유의 김성일 팀장은 "생산원가가 싼 곳이라면 어디든 쫓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높은 판매율도 생산원가를 낮추는 요소의 하나.
지오다노는 매시즌 전체 생산량의 90%이상을 팔아치운다.
업계에서는 판매율이 60%를 넘으면 일단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오다노가 대단한 실적을 올리고 있다는 얘기다.
지오다노는 재고를 최소화하는 이같은 경영으로 지난해 매출 1천3백억원에 2백억원의 순이익(세전)을 올렸다.
아이겐포스트도 최근 판매율이 80%를 웃돌고 있다.
◆저가 캐주얼시장 전망=내년 봄에는 저가의 캐주얼의류가 잇따라 선보일 전망이다.
MK트렌드의 올드&뉴,베이직 하우스의 베이직 하우스,예신퍼슨스의 노튼,nSF의 a.m하우스 등 10여개 브랜드가 선보인다.
이들은 디자인 감도를 높이고 품질을 끌어올리는 등 차별화 전략으로 신세대 고객들을 공략할 계획이다.
후아유등이 떠오르면서 캐주얼시장 판도에 지각변동이 일어날 조짐이다.캐주얼시장이 중고가 의류에서 저가캐주얼 중심으로 바뀔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설현정 기자 sol@hankyung.com
지오다노는 지난 11월에 2백억원(1백10개매장)의 매출을 올렸다. 94년 한국에 진출한 이래 월별로는 최고기록이다.
12월에도 매출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올 매출이 2천억원을 넘어설 것이라는게 회사측 설명이다. 후아유코리아의 후아유도 5개 매장에서 점포당 하루 3천만원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1백평짜리 동대문점의 경우 주말 매출이 6천만원을 넘어서고 있다.
월 5천만원선인 캐주얼브랜드의 평균매출 비해 훨씬 많다. MK트렌드의 TBJ와 아이겐포스트도 20%이상매출이 늘어나고 있다.
4.4분기 들어서면서 중고가 캐주얼 의류가 부진한 것과는 판이하다.
◆가격으로 차별화한다=폴라플리스점퍼 가격은 1만∼2만원대.겨울용 더플코트는 9만원에 살 수 있다.
백화점에서 팔리고 있는 캐주얼의류의 절반값이다.
오리털파카도 4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다.
일부 품목의 경우 밀리오레나 두산타워등 동대문 쇼핑몰보다 싸다.
아이겐포스트의 김봉구 영업팀장은 "구경삼아 잠깐 들렀다가도 두세벌 정도는 부담없이 사갈 수 있는 가격대를 설정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탄력적인 가격조정도 저가캐주얼브랜드 특징의 하나.
후아유코리아는 한달전 2만9천8백원에 내놓았던 겨울바지 값을 1만5천8백원으로 인하했다.
판매가 부진하자 과감하게 값을 내린 것.
가격조정후 5일만에 겨울바지 2천장이 동나버렸다.
◆비용을 최소화한다=후아유는 중국 홍콩 북한 싱가포르 등 7개국에 생산기지를 갖고 있다.
일본의 유니크로나 미국의 갭처럼 글로벌 아웃소싱을 하고 있는 것.
러닝셔츠는 미국에 주문하고 손이 많이 가는 니트는 공임비가 싼 중국에서 만들고 있다.
후아유의 김성일 팀장은 "생산원가가 싼 곳이라면 어디든 쫓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높은 판매율도 생산원가를 낮추는 요소의 하나.
지오다노는 매시즌 전체 생산량의 90%이상을 팔아치운다.
업계에서는 판매율이 60%를 넘으면 일단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오다노가 대단한 실적을 올리고 있다는 얘기다.
지오다노는 재고를 최소화하는 이같은 경영으로 지난해 매출 1천3백억원에 2백억원의 순이익(세전)을 올렸다.
아이겐포스트도 최근 판매율이 80%를 웃돌고 있다.
◆저가 캐주얼시장 전망=내년 봄에는 저가의 캐주얼의류가 잇따라 선보일 전망이다.
MK트렌드의 올드&뉴,베이직 하우스의 베이직 하우스,예신퍼슨스의 노튼,nSF의 a.m하우스 등 10여개 브랜드가 선보인다.
이들은 디자인 감도를 높이고 품질을 끌어올리는 등 차별화 전략으로 신세대 고객들을 공략할 계획이다.
후아유등이 떠오르면서 캐주얼시장 판도에 지각변동이 일어날 조짐이다.캐주얼시장이 중고가 의류에서 저가캐주얼 중심으로 바뀔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설현정 기자 s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