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건설시대] 死活건 대도약...지금이 기회 .. 정보유통 개선 등 시급
입력
수정
붕괴위기에 처한 건설산업을 살리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다.
건설산업을 이대로 방치하다간 어떤 고단위 처방을 써도 회생이 불가능하다는 위기감이 건설업계 내.외부에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한때 국가 기간산업으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던 건설산업은 요즘 그야말로 ''처참''한 상태에 빠져 있다.
부실과 주먹구구식 경영으로 얼룩진 집단이란 눈총을 받으며 시장에서조차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말 현재 상위 1백개 건설업체중 부도를 낸 곳은 38개사에 달한다.증권시장에 상장된 건설업체중 부도를 내지 않은 29개사 가운데 액면가 5천원을 웃도는 종목은 극소수다.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의 관심권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는 반증이다.
해외에서의 평가도 마찬가지다.지난해 국내업체들의 해외공사 수주액은 54억달러.
99년에 비해선 절반, IMF체제 이전인 97년과 비교하면 3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외국인들의 건설업종에 대한 투자비중도 전체산업의 1%에 지나지 않는다.건설시장이 지난 97년 완전개방되고 IMF체제 이후 건설업체들의 자금난이 심화됐지만 외국기업에 의한 M&A(인수합병) 사례는 거의 없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종에 다국적 기업이 앞다퉈 진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때 한국을 대표하던 건설업체들이 국내외에서 불신을 받으며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전문가들은 생사(生死)의 기로에 놓여 있는 지금이야말로 건설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에 적절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시장경쟁체제를 도입해 낙후된 생산구조를 저비용고효율 체제로 바꾸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97년말 IMF 관리체제 이후 심화된 자금경색과 일감부족 등으로 인해 자생력이 떨어지는 업체들은 대부분 구조조정과정에서 자연도태됐다.
정부와 업계가 공동으로 공정한 경쟁의 틀을 마련해 좋은 제품을 싼 값에 공급하는 회사가 발전하는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셈이다.
이를 위해선 먼저 건설산업 체제안에 남아 있는 비효율성을 제거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정부와 업계가 만들어 놓은 업역제도다.
설계 시공 감리 등 각 단계별로 업무영역을 나눠 놓고 저마다 배타적인 권한을 행사하다보니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5층짜리 일반건물을 짓는 현장을 예로 들어보자.
국내의 경우 현장에 상주하는 기능인력은 설계 일반건설 전문건설 감리 정부감독관 등 최소한 5명.
반면 업역을 철폐한 선진국에서는 CM(건설사업관리)을 통해 이 업무를 한 명이 담당한다.
5명의 중복관리에 따른 초과비용(36%)도 아깝지만 문제는 경쟁을 저해하는 관행과 풍토다.
이같은 체제에서는 업체들이 기술개발을 소홀히 하게 되고 건설비용을 무리하게 줄이려다 부실공사를 할 가능성이 높다.
건설 업역을 철폐해 업체들이 기술개발과 비용절감을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그래서 나오고 있다.
건설업계도 정부에 부양책과 같은 단기처방만 요구하지 말고 특화전략을 통해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는데 주력해야 한다.
낙후된 건설산업 정보유통망의 개선도 시급한 과제중의 하나로 꼽힌다.
건설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사비용 품질 기술내용 등을 담고 있는 건설정보의 원활한 유통이다.
정보유통이 오픈되고 투명할수록 건설산업의 경쟁력은 높아진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건설정보체계 미비로 건설주체들간의 정보유통이 단절되고 이는 잦은 설계변경과 공기지연을 유발하고 있다.
그만큼 공사기간이 늘어나고 비용이 증가한다.
최근 완공된 지하철 6호선 A공구의 경우 상세설계 도서의 60%를 변경하고 공기도 2년가량 지연된 것으로 조사됐다(김홍일의원 국감자료).
기획 설계 시공 감리 등 각 분야별로 표준체계를 만들고 관련정보의 유통을 원활히 해주는 제도적인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것은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공사비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고 사용처를 감시하는 기능도 긴요하다.
건설업이 비자금의 전담창구라는 오명을 이젠 벗어야 할 때라는 자성의 소리가 건설업계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금융권의 공사이행보증제도를 가능한 빨리 정착시켜 업체들의 투명경영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업체들도 외형 위주의 수주방식과 한탕주의를 버리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전문성을 키우고 수익성 위주의 내실경영을 펼치지 않으면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15%인 건설투자 비중은 장기적으로 8∼10%까지 낮아진다는 것이 건설전문가들의 대체적 전망이다.이같은 건설시장 여건에서 살아남으려면 공정한 경쟁에서 이기는 게임의 룰을 습득할 수 밖에 없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
건설산업을 이대로 방치하다간 어떤 고단위 처방을 써도 회생이 불가능하다는 위기감이 건설업계 내.외부에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한때 국가 기간산업으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던 건설산업은 요즘 그야말로 ''처참''한 상태에 빠져 있다.
부실과 주먹구구식 경영으로 얼룩진 집단이란 눈총을 받으며 시장에서조차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말 현재 상위 1백개 건설업체중 부도를 낸 곳은 38개사에 달한다.증권시장에 상장된 건설업체중 부도를 내지 않은 29개사 가운데 액면가 5천원을 웃도는 종목은 극소수다.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의 관심권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는 반증이다.
해외에서의 평가도 마찬가지다.지난해 국내업체들의 해외공사 수주액은 54억달러.
99년에 비해선 절반, IMF체제 이전인 97년과 비교하면 3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외국인들의 건설업종에 대한 투자비중도 전체산업의 1%에 지나지 않는다.건설시장이 지난 97년 완전개방되고 IMF체제 이후 건설업체들의 자금난이 심화됐지만 외국기업에 의한 M&A(인수합병) 사례는 거의 없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종에 다국적 기업이 앞다퉈 진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때 한국을 대표하던 건설업체들이 국내외에서 불신을 받으며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전문가들은 생사(生死)의 기로에 놓여 있는 지금이야말로 건설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에 적절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시장경쟁체제를 도입해 낙후된 생산구조를 저비용고효율 체제로 바꾸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97년말 IMF 관리체제 이후 심화된 자금경색과 일감부족 등으로 인해 자생력이 떨어지는 업체들은 대부분 구조조정과정에서 자연도태됐다.
정부와 업계가 공동으로 공정한 경쟁의 틀을 마련해 좋은 제품을 싼 값에 공급하는 회사가 발전하는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셈이다.
이를 위해선 먼저 건설산업 체제안에 남아 있는 비효율성을 제거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정부와 업계가 만들어 놓은 업역제도다.
설계 시공 감리 등 각 단계별로 업무영역을 나눠 놓고 저마다 배타적인 권한을 행사하다보니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5층짜리 일반건물을 짓는 현장을 예로 들어보자.
국내의 경우 현장에 상주하는 기능인력은 설계 일반건설 전문건설 감리 정부감독관 등 최소한 5명.
반면 업역을 철폐한 선진국에서는 CM(건설사업관리)을 통해 이 업무를 한 명이 담당한다.
5명의 중복관리에 따른 초과비용(36%)도 아깝지만 문제는 경쟁을 저해하는 관행과 풍토다.
이같은 체제에서는 업체들이 기술개발을 소홀히 하게 되고 건설비용을 무리하게 줄이려다 부실공사를 할 가능성이 높다.
건설 업역을 철폐해 업체들이 기술개발과 비용절감을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그래서 나오고 있다.
건설업계도 정부에 부양책과 같은 단기처방만 요구하지 말고 특화전략을 통해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는데 주력해야 한다.
낙후된 건설산업 정보유통망의 개선도 시급한 과제중의 하나로 꼽힌다.
건설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사비용 품질 기술내용 등을 담고 있는 건설정보의 원활한 유통이다.
정보유통이 오픈되고 투명할수록 건설산업의 경쟁력은 높아진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건설정보체계 미비로 건설주체들간의 정보유통이 단절되고 이는 잦은 설계변경과 공기지연을 유발하고 있다.
그만큼 공사기간이 늘어나고 비용이 증가한다.
최근 완공된 지하철 6호선 A공구의 경우 상세설계 도서의 60%를 변경하고 공기도 2년가량 지연된 것으로 조사됐다(김홍일의원 국감자료).
기획 설계 시공 감리 등 각 분야별로 표준체계를 만들고 관련정보의 유통을 원활히 해주는 제도적인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것은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공사비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고 사용처를 감시하는 기능도 긴요하다.
건설업이 비자금의 전담창구라는 오명을 이젠 벗어야 할 때라는 자성의 소리가 건설업계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금융권의 공사이행보증제도를 가능한 빨리 정착시켜 업체들의 투명경영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업체들도 외형 위주의 수주방식과 한탕주의를 버리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전문성을 키우고 수익성 위주의 내실경영을 펼치지 않으면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15%인 건설투자 비중은 장기적으로 8∼10%까지 낮아진다는 것이 건설전문가들의 대체적 전망이다.이같은 건설시장 여건에서 살아남으려면 공정한 경쟁에서 이기는 게임의 룰을 습득할 수 밖에 없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