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노동생산성 증가율, 임금상승률 크게 앞질러
입력
수정
지난해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임금상승률을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제조업의 전년 동기대비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지난해 1.4분기 8%였지만 2.4분기엔 12.0%,3.4분기엔 15.3%로 높아졌다.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지난 97년 12.9%에서 외환위기가 닥친 직후인 98년에는 10.5%,99년에는 9.1%로 하락했다.
반면 제조업의 임금상승률은 지난해 1.4분기 9.6%,2.4분기 8.4%,3.4분기 11.0%를 기록,2.4분기에 이어 3.4분기에도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못미쳤다.
지난 99년의 경우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9.1%에 그친 반면 임금상승률은 14.9%를 기록,기업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노동생산성이 급등한 것은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의 성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산출물 1단위 생산에 드는 노동비용을 의미하는 단위노동비용(시간당 명목임금/노동생산성)은 지난해 1.4분기 2%,2.4분기 0.2%,3.4분기 1.4% 등으로 감소세를 보여 노동생산성이 물가압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
21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제조업의 전년 동기대비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지난해 1.4분기 8%였지만 2.4분기엔 12.0%,3.4분기엔 15.3%로 높아졌다.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지난 97년 12.9%에서 외환위기가 닥친 직후인 98년에는 10.5%,99년에는 9.1%로 하락했다.
반면 제조업의 임금상승률은 지난해 1.4분기 9.6%,2.4분기 8.4%,3.4분기 11.0%를 기록,2.4분기에 이어 3.4분기에도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못미쳤다.
지난 99년의 경우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9.1%에 그친 반면 임금상승률은 14.9%를 기록,기업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노동생산성이 급등한 것은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의 성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산출물 1단위 생산에 드는 노동비용을 의미하는 단위노동비용(시간당 명목임금/노동생산성)은 지난해 1.4분기 2%,2.4분기 0.2%,3.4분기 1.4% 등으로 감소세를 보여 노동생산성이 물가압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