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1일자) 생각보다 저조한 산업활동 동향
입력
수정
통계청이 발표한 12월 산업활동 동향은 경기침체가 우려 이상으로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들에 다름 아니다.
지난 4·4분기를 고비로 경기가 꺾였다는 것은 짐작한 대로지만 그 속도와 폭, 그리고 각도가 지나치게 예리하게 떨어져 우려를 더하는 상황이다. 생산증가율 4.7%는 비교 시점인 99년 경기가 과도하게 좋았던데 대한 반사적인 수치라 하겠지만 내수 위축, 재고 증가 등을 종합해서 본다면 최근의 경기 흐름은 말그대로 낙관불허의 국면이라 하겠다.
소비지표인 도소매 판매 증가율이 2.2%를 기록해 외환 위기가 한창이던 98년의 3~4% 수준보다 낮아진 것이 악순환의 출발점이라면 출발점일 것이다.
결국 소비가 줄면서 재고율이 81.4%에서 84.6%로 높아졌고 가동률은 99년 5월 이후 처음으로 75% 이하인 74.7%로 떨어지고 말았음이 저간의 경기 급랭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앞으로의 경기흐름을 예상케 하는 설비투자가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음은 더욱 걱정스러운 대목이다.
11월중 1.5%의 감소세를 기록한 설비투자는 12월들어 2.1%의 감소로 나타나 통계청조차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내놓을 정도다.
이같은 추세가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지가 역시 우리의 최대 관심사일 것이다.재경부는 소비가 살아나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는 경기도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펴고 있지만 경기회복을 점치기엔 아직은 이르다는 통계 당국의 설명이 오히려 설득력이 있다고 보겠다.
더욱이 일부 외국 금융기관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4%를 밑돌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기도 했고 어제 막을 내린 다보스 포럼에서는 미국 경기 급랭이 아시아경제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쏟아졌다니 적잖이 신경쓰이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일각에서 하반기에는 경제상황이 더욱 나빠질 수도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나 경기회복을 논하기는 시기상조라는 민간 전문가들의 분석들도 궤를 같이 하기는 마찬가지다.문제는 과연 어떤 방법으로 급랭하는 경기를 연착륙시킬 것이며 또 침체 기간을 단축시킬 것이냐는 점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을 조화롭게 추진해가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경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당국으로서는 증시회복에 의존해 반짝 경기를 추구하기보다는 실물흐름을 중시하는 원론적 대책을 추구해가야 할 것이다.
지난 4·4분기를 고비로 경기가 꺾였다는 것은 짐작한 대로지만 그 속도와 폭, 그리고 각도가 지나치게 예리하게 떨어져 우려를 더하는 상황이다. 생산증가율 4.7%는 비교 시점인 99년 경기가 과도하게 좋았던데 대한 반사적인 수치라 하겠지만 내수 위축, 재고 증가 등을 종합해서 본다면 최근의 경기 흐름은 말그대로 낙관불허의 국면이라 하겠다.
소비지표인 도소매 판매 증가율이 2.2%를 기록해 외환 위기가 한창이던 98년의 3~4% 수준보다 낮아진 것이 악순환의 출발점이라면 출발점일 것이다.
결국 소비가 줄면서 재고율이 81.4%에서 84.6%로 높아졌고 가동률은 99년 5월 이후 처음으로 75% 이하인 74.7%로 떨어지고 말았음이 저간의 경기 급랭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앞으로의 경기흐름을 예상케 하는 설비투자가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음은 더욱 걱정스러운 대목이다.
11월중 1.5%의 감소세를 기록한 설비투자는 12월들어 2.1%의 감소로 나타나 통계청조차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내놓을 정도다.
이같은 추세가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지가 역시 우리의 최대 관심사일 것이다.재경부는 소비가 살아나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는 경기도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펴고 있지만 경기회복을 점치기엔 아직은 이르다는 통계 당국의 설명이 오히려 설득력이 있다고 보겠다.
더욱이 일부 외국 금융기관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4%를 밑돌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기도 했고 어제 막을 내린 다보스 포럼에서는 미국 경기 급랭이 아시아경제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쏟아졌다니 적잖이 신경쓰이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일각에서 하반기에는 경제상황이 더욱 나빠질 수도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나 경기회복을 논하기는 시기상조라는 민간 전문가들의 분석들도 궤를 같이 하기는 마찬가지다.문제는 과연 어떤 방법으로 급랭하는 경기를 연착륙시킬 것이며 또 침체 기간을 단축시킬 것이냐는 점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을 조화롭게 추진해가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경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당국으로서는 증시회복에 의존해 반짝 경기를 추구하기보다는 실물흐름을 중시하는 원론적 대책을 추구해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