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빌딩] 한지붕 서비스..전국 161곳...입주업체 지원 '質' 경쟁
입력
수정
벤처빌딩이 양적 확대에서 질적인 도약을 모색하고 있다.
빌딩에 벤처기업을 모아놓는 단순 부동산임대업에서 벤처커뮤니티를 형성해 입주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명실상부한 벤처산실을 꿈꾸고 있다.벤처빌딩으로 불리는 벤처기업 직접시설은 1998년 이후 꾸준히 늘어났다.
양적 성장의 시기였다.
지난 98년 22개이던 벤처빌딩은 99년 40개가 더 생겼고 지난해에는 99개가 추가로 지정받았다.지난해 벤처기업이 6개이상만 입주하면 벤처빌딩으로 지정해 주도록 법을 바꾸면서 이처럼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지난해말을 기준으로 한 전국의 벤처빌딩은 1백61개다.
여기에 입주한 벤처기업이 7백개에 이른다.1만개 벤처기업중 7%가 이런 시설에 들어 있는 셈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벤처빌딩은 정부의 세제혜택을 노린 부동산임대업의 개념을 벗어나지 못했다.
벤처빌딩으로 지정되면 신축건물의 경우 취.등록세를 면제해 주고 기존 건물은 재산세와 종합토지세를 각각 50%씩 면제해 준다.이러다보니 건물주들이 너도나도 벤처기업을 유치해 왔다.
그리고 이들 건물주들도 "벤처대박"을 노리고 임대료중 일부는 입주벤처기업의 주식으로 받았다.
그러나 서비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공동이용시설도 빈약하고 초고속통신망이 제대로 깔리지 않은 곳도 있었다.
입주벤처기업을 위한 전담운영인력도 거의 없었다.
정보공유나 교육 법률 마케팅 지원은 꿈도 꾸지 못했다.
그래서 벤처빌딩이 건물주에게만 유리한 제도라는 지적도 나왔다.
물론 일부 대형벤처빌딩과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벤처빌딩은 그나마 기초적 서비스라도 갖추려고 노력해 왔으나 대체적으로 수준미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지적을 감안해 중소기업청도 벤처빌딩의 질적 성장을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다.
우선 벤처빌딩도 옥석을 가리기로 했다.
종전에는 벤처빌딩으로 지정된 뒤에 3년내 지정요건을 충족하도록 했지만 1년안에 이를 마무리짓도록 했다.
또 이미 벤처빌딩으로 지정된 빌딩이라도 3년이 지나도록 지정요건을 제대로 못 채우면 이를 취소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무늬만 벤처빌딩"을 퇴출시킨다는 것이다.
또 벤처빌딩지정요건에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를 많이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벤처빌딩을 지정할 때 건물주의 운영계획을 시.도지사가 심사하도록 해 건물주가 벤처기업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예컨대 건물운영회사와 입주사간의 간담회를 열거나 법률 회계 홍보 등 인프라를 공유하도록 하는 서비스 등이다.
몇몇 대형 벤처빌딩은 정부의 이런 정책변화에 앞서 입주기업에 대한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있다.
국내 벤처빌딩중 최대규모인 테크노마트는 운영업체인 프라임산업이 프라임 벤처캐피털과 홍보마케팅 전문회사인 프라임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투자 홍보 광고 마케팅전략을 도와주고 있다.
또 입주벤처기업간의 커뮤니티형성을 위해 게임벤처기업의 CEO(최고경영자) 모임인 "게임이오"를 운영해 이를 별도 법인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전략적으로 입주업체끼리 네트워킹하기 위해 공동연합체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인바이오넷이 인수한 건물에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바이오기업을 끌어들여 만든 대덕바이오커뮤니티가 그런 사례다.
이 커뮤니티유지를 위해 입주기업끼리 관리비를 분담하고 있을 정도다.
미래에셋빌딩의 경우는 입주업체의 기업설명회를 도와주고 있고 입주업체를 중심으로 별도의 커뮤니티도 구상하고 있다.
비트컴퓨터의 비트빌 빌딩은 각종 시설을 공유하도록 해서 입주업체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세원벤처타운은 무상에 가까운 초고속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저렴한 임대료로 입주기업에 혜택을 주고 있다.이처럼 벤처빌딩이 임대업에서 서비스공급업체로 질적 성장을 꾀하면 벤처빌딩간에도 경쟁의 틀이 작동할 것이라는게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안상욱기자 sangwook@hankyung.com
빌딩에 벤처기업을 모아놓는 단순 부동산임대업에서 벤처커뮤니티를 형성해 입주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명실상부한 벤처산실을 꿈꾸고 있다.벤처빌딩으로 불리는 벤처기업 직접시설은 1998년 이후 꾸준히 늘어났다.
양적 성장의 시기였다.
지난 98년 22개이던 벤처빌딩은 99년 40개가 더 생겼고 지난해에는 99개가 추가로 지정받았다.지난해 벤처기업이 6개이상만 입주하면 벤처빌딩으로 지정해 주도록 법을 바꾸면서 이처럼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지난해말을 기준으로 한 전국의 벤처빌딩은 1백61개다.
여기에 입주한 벤처기업이 7백개에 이른다.1만개 벤처기업중 7%가 이런 시설에 들어 있는 셈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벤처빌딩은 정부의 세제혜택을 노린 부동산임대업의 개념을 벗어나지 못했다.
벤처빌딩으로 지정되면 신축건물의 경우 취.등록세를 면제해 주고 기존 건물은 재산세와 종합토지세를 각각 50%씩 면제해 준다.이러다보니 건물주들이 너도나도 벤처기업을 유치해 왔다.
그리고 이들 건물주들도 "벤처대박"을 노리고 임대료중 일부는 입주벤처기업의 주식으로 받았다.
그러나 서비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공동이용시설도 빈약하고 초고속통신망이 제대로 깔리지 않은 곳도 있었다.
입주벤처기업을 위한 전담운영인력도 거의 없었다.
정보공유나 교육 법률 마케팅 지원은 꿈도 꾸지 못했다.
그래서 벤처빌딩이 건물주에게만 유리한 제도라는 지적도 나왔다.
물론 일부 대형벤처빌딩과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벤처빌딩은 그나마 기초적 서비스라도 갖추려고 노력해 왔으나 대체적으로 수준미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지적을 감안해 중소기업청도 벤처빌딩의 질적 성장을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다.
우선 벤처빌딩도 옥석을 가리기로 했다.
종전에는 벤처빌딩으로 지정된 뒤에 3년내 지정요건을 충족하도록 했지만 1년안에 이를 마무리짓도록 했다.
또 이미 벤처빌딩으로 지정된 빌딩이라도 3년이 지나도록 지정요건을 제대로 못 채우면 이를 취소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무늬만 벤처빌딩"을 퇴출시킨다는 것이다.
또 벤처빌딩지정요건에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를 많이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벤처빌딩을 지정할 때 건물주의 운영계획을 시.도지사가 심사하도록 해 건물주가 벤처기업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예컨대 건물운영회사와 입주사간의 간담회를 열거나 법률 회계 홍보 등 인프라를 공유하도록 하는 서비스 등이다.
몇몇 대형 벤처빌딩은 정부의 이런 정책변화에 앞서 입주기업에 대한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있다.
국내 벤처빌딩중 최대규모인 테크노마트는 운영업체인 프라임산업이 프라임 벤처캐피털과 홍보마케팅 전문회사인 프라임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투자 홍보 광고 마케팅전략을 도와주고 있다.
또 입주벤처기업간의 커뮤니티형성을 위해 게임벤처기업의 CEO(최고경영자) 모임인 "게임이오"를 운영해 이를 별도 법인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전략적으로 입주업체끼리 네트워킹하기 위해 공동연합체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인바이오넷이 인수한 건물에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바이오기업을 끌어들여 만든 대덕바이오커뮤니티가 그런 사례다.
이 커뮤니티유지를 위해 입주기업끼리 관리비를 분담하고 있을 정도다.
미래에셋빌딩의 경우는 입주업체의 기업설명회를 도와주고 있고 입주업체를 중심으로 별도의 커뮤니티도 구상하고 있다.
비트컴퓨터의 비트빌 빌딩은 각종 시설을 공유하도록 해서 입주업체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세원벤처타운은 무상에 가까운 초고속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저렴한 임대료로 입주기업에 혜택을 주고 있다.이처럼 벤처빌딩이 임대업에서 서비스공급업체로 질적 성장을 꾀하면 벤처빌딩간에도 경쟁의 틀이 작동할 것이라는게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안상욱기자 sangw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