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규모 50년새 1만배 늘어 .. '통계로 본 한국의 모습'
입력
수정
우리나라의 경제규모가 지난 50년간 1만배 가량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6일 발간한 ''통계로 보는 한국의 모습''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은 지난 1953년 4백73억원에서 99년에는 4백84조원으로 9천9백84배 증가했다.''통계로…''에는 우리나라 국토 총 면적이 광복이후 5천1백35㎢(5.4%) 넓어졌다는 사실 등 우리나라의 경제·사회 등 전 분야에 대한 시대적 특성과 변화모습을 담았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경제일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지난 53년 2천4백원에서 99년 1천21만원으로 4천3백배가량 증가했다.99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총저축액은 약 1백60조원(총저축률 33.7%)으로 국민 한사람당 3백46만원을 저축한 셈이다.
수출은 지난 60년 3천3백만달러에서 99년 1천4백37억달러로 4천3백54배 늘었고, 수입은 3억4천4백만달러에서 1천1백98억달러로 3백48배가량 증가했다.
◇ 산업.기업활동 =산업별 구조는 경공업 중심에서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변화했다.농림어업과 광업이 국내총생산액에서 차지하던 비중은 지난 70년 각각 27.1%, 1.5%에서 99년 5.0%, 0.4%로 크게 낮아졌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99년말 기준 1천1백16만4천대로 30년전(4만9천대)보다 2백28배 늘었다.
특히 자가용은 같은 기간 7천대에서 7백56만7천대로 1천81배가 증가했다.◇ 산업재해.분쟁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지난 65년 10억원에서 99년 6조3천7백11억원으로 무려 6천3백배가 늘었다.
노동조합수와 조합원수는 지난 87년 노동운동이 폭발한 뒤 89년 7천8백여개, 1백93만명까지 급증했으나 이후 조금씩 감소해 지난 99년 각각 5천6백37개, 1백48만명으로 줄어들었다.
◇ 인구규모.구조 =광복 당시 1천6백14만명이던 인구는 지난해 4천7백28만명(잠정)으로 3배가량 늘었지만 출생아수는 30년전에 비해 약 39% 감소했다.
여아가 1백명 태어날 때 남아가 몇 명 태어나는가를 나타내는 출생성비는 99년에 1백9.6명을 기록했다.
말띠해 범띠해 용띠해의 여아 출생비율이 낮아 한국 여성들은 전통적 관념에 따라 인위적으로 출산시기를 조절하거나 성감별 낙태로 태아의 성을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가계 =도시근로자 가구의 실질소득(물가상승률 제외)은 지난 30년간 5.9배 증가했고 소비지출은 4.3배 늘었다.
소비지출 가운데 식료품비 비중은 지난 70년 46.6%에서 27.9%(99년)로 낮아졌지만 외식비는 0.9%에서 9.9%로 크게 늘었다.
승용차 보급이 많아지면서 개인교통비도 소비지출의 8.1%(99년)를 넘고 있다.
◇ 교육 =지난 30년간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는 62.1명에서 35.8명으로, 교원 1인당 학생수는 56.9명에서 28.7명으로 각각 줄었들었다.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의 진학률은 26.9%에서 68%까지 늘어났다.
공교육비는 1천4백55억원에서 28조1천8백85억원으로 1백94배 늘었고,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5.2%에서 5.8%로 확대됐다.
◇ 보건.복지 =한국인 1백명중 56명이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0년 이후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인구10만명당 사망자)은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교통사고 순으로 드러났다.흡연과 음주율은 남자의 경우 지난 89년 각각 70.5%와 79.8%에서 98년 67.6%와 72.4%로 줄어들었지만 여자는 4.2%, 23.2%에서 6.7%와 32.7%로 각각 증가했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
통계청이 6일 발간한 ''통계로 보는 한국의 모습''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은 지난 1953년 4백73억원에서 99년에는 4백84조원으로 9천9백84배 증가했다.''통계로…''에는 우리나라 국토 총 면적이 광복이후 5천1백35㎢(5.4%) 넓어졌다는 사실 등 우리나라의 경제·사회 등 전 분야에 대한 시대적 특성과 변화모습을 담았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경제일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지난 53년 2천4백원에서 99년 1천21만원으로 4천3백배가량 증가했다.99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총저축액은 약 1백60조원(총저축률 33.7%)으로 국민 한사람당 3백46만원을 저축한 셈이다.
수출은 지난 60년 3천3백만달러에서 99년 1천4백37억달러로 4천3백54배 늘었고, 수입은 3억4천4백만달러에서 1천1백98억달러로 3백48배가량 증가했다.
◇ 산업.기업활동 =산업별 구조는 경공업 중심에서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변화했다.농림어업과 광업이 국내총생산액에서 차지하던 비중은 지난 70년 각각 27.1%, 1.5%에서 99년 5.0%, 0.4%로 크게 낮아졌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99년말 기준 1천1백16만4천대로 30년전(4만9천대)보다 2백28배 늘었다.
특히 자가용은 같은 기간 7천대에서 7백56만7천대로 1천81배가 증가했다.◇ 산업재해.분쟁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지난 65년 10억원에서 99년 6조3천7백11억원으로 무려 6천3백배가 늘었다.
노동조합수와 조합원수는 지난 87년 노동운동이 폭발한 뒤 89년 7천8백여개, 1백93만명까지 급증했으나 이후 조금씩 감소해 지난 99년 각각 5천6백37개, 1백48만명으로 줄어들었다.
◇ 인구규모.구조 =광복 당시 1천6백14만명이던 인구는 지난해 4천7백28만명(잠정)으로 3배가량 늘었지만 출생아수는 30년전에 비해 약 39% 감소했다.
여아가 1백명 태어날 때 남아가 몇 명 태어나는가를 나타내는 출생성비는 99년에 1백9.6명을 기록했다.
말띠해 범띠해 용띠해의 여아 출생비율이 낮아 한국 여성들은 전통적 관념에 따라 인위적으로 출산시기를 조절하거나 성감별 낙태로 태아의 성을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가계 =도시근로자 가구의 실질소득(물가상승률 제외)은 지난 30년간 5.9배 증가했고 소비지출은 4.3배 늘었다.
소비지출 가운데 식료품비 비중은 지난 70년 46.6%에서 27.9%(99년)로 낮아졌지만 외식비는 0.9%에서 9.9%로 크게 늘었다.
승용차 보급이 많아지면서 개인교통비도 소비지출의 8.1%(99년)를 넘고 있다.
◇ 교육 =지난 30년간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는 62.1명에서 35.8명으로, 교원 1인당 학생수는 56.9명에서 28.7명으로 각각 줄었들었다.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의 진학률은 26.9%에서 68%까지 늘어났다.
공교육비는 1천4백55억원에서 28조1천8백85억원으로 1백94배 늘었고,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5.2%에서 5.8%로 확대됐다.
◇ 보건.복지 =한국인 1백명중 56명이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0년 이후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인구10만명당 사망자)은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교통사고 순으로 드러났다.흡연과 음주율은 남자의 경우 지난 89년 각각 70.5%와 79.8%에서 98년 67.6%와 72.4%로 줄어들었지만 여자는 4.2%, 23.2%에서 6.7%와 32.7%로 각각 증가했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