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채권단회의' 있으나마나

"이렇게 하면 확실히 회생이 가능한지 현대측의 설명을 들어봐야 하는 것 아닙니까"

29일 현대건설 지원을 위한 채권단회의가 열린 은행회관 14층 회의실.조용하던 분위기는 한 채권금융회사 대표의 격앙된 목소리로 순간 깨졌다.묵묵히 지원자금 규모가 적힌 회의자료를 검토하던 다른 금융회사 대표들도 일제히 고개를 들었다.

회의를 주재하던 김경림 외환은행장은 당황한 표정을 지었다.

그는 "필요하면 현대측 재무담당 어드바이저인 아더 D 리틀 관계자를 부르겠다"며 다급히 전화번호를 찾았다.3조원이 넘는 자금지원을 결의하는 중요성에 비해 채권단회의의 사전 준비는 이처럼 어설펐다.

미흡한 준비는 어쩌면 결론이 뻔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미 정부는 회의 전날 저녁에 현대건설 채권액의 75%를 차지하는 주요 채권은행장들을 긴급 소집해 지원방안을 사실상 확정지었다.지난 28일 오후7시 금융감독원은 외환 등 9개 은행의 행장을 여의도 63빌딩 가버너스 챔버클럽으로 긴급 소집했다.

이 자리에는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과 강기원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등이 참석했다.

강 부원장보는 "은행장들에게 잘 논의해 보라고만 했을 뿐 (처리방안에 대해서는) 말 한마디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하지만 이 말을 곧이 믿는 금융계 관계자는 없다.

회의 전날 주요 채권은행장을 부른 것 자체가 이날 채권단회의 방침을 결정지어 버린 것 아니냐는 얘기다.

의안이 모두 확정된 속에서 ''거수기'' 역할을 하러 온 금융회사 대표들이 불만을 가진 것도 당연하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해서인지 당초 회의석상에 마련돼 있던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 관계자의 명패는 눈에 보이지 않았다.

현대건설이 비록 자본 전액잠식 상태라고 밝혀졌지만 청산이나 법정관리로 갈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은 채권단도 인정한다.

3조원의 거액을 지원키로 결의한 것도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책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일 터이다.하지만 현대건설 해법과정에서 드러난 정부당국의 모습은 여전히 시장원리와 어긋나는 것 같아 안타깝다.

김준현 금융부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