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라운드를 앞두고] 培土한 골프장에선 컨트롤샷을

.변덕스런 바람에 황사현상도 있지만 골프장 잔디색깔은 푸른 기운을 더해가고 있다.

골퍼들은 ''이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큰 기대를 안고 필드로 향한다.그런데 막상 첫 티샷을 날린 뒤 페어웨이로 나가 보면 기대가 실망으로 바뀐다.

매년 이맘때면 볼 수 있는 ''배토''(培土)로 인해 잔디 사이사이에 흙이 많이 드러나있기 때문이다.

일명 ''뗏밥''으로도 불리는 배토는 추위를 겪은 잔디가 봄철에 잘 착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행하는 것.흙을 뿌린 뒤 잘 골라주면 큰 문제가 없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산뜻한 플레이를 하는 데 방해가 되곤 한다.

그러나 ''잔디반 모래반''인 코스라도 부킹만 되면 달려가는 것이 한국골퍼들의 실상이다.

.배토한 골프장에서는 어떻게 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최상호 프로의 말을 들어보자.

"배토한 골프장에서는 프로들도 치기가 어렵다.

페어웨이가 아니라 미니벙커나 디보트홀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따라서 볼을 정확히 맞혀야 한다.

약간 ''토핑''성이다싶게 볼 중간보다 윗부분을 겨냥해야 한다.

평소 8번아이언 거리라면 7번아이언을 들고 정확한 임팩트위주로 컨트롤샷을 해주는 것이 좋다.

볼 윗부분을 치므로 낙하한 뒤 런이 많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그린주변에도 모래가 많으므로 피칭이나 샌드웨지 등 로프트가 큰 클럽을 쓰기가 더 어려워진다.

8번아이언 정도로 러닝어프로치를 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8번을 든다면 전체거리 중 ''떠가는 거리''를 3분의1,''굴러가는 거리''를 3분의2로 생각하면 된다.

그린도 바닥에 구멍을 뚫고 흙을 넣는 ''에어레이션''을 해놓으면 볼이 잘 안 구른다.평소보다 세게 퍼팅해주어야 원하는 거리를 낼 수 있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