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병 정복] 당뇨병 : 심혈관질환 앓을땐 체중 필히 빼야

당뇨병 치료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식사요법이다. 특히 비만이나 관상동맥경화 협심증 같은 심혈관질환을 함께 앓고 있다면 절식을 통한 체중 감소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정상에 가깝게 혈당을 조절하지 못한다면 약물요법까지 시도해야한다. 과거만해도 당뇨병 약을 평생 복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들이 약을 꺼린 적이 있지만 최근에는 약리 효과가 다양한 약물이 나와 상황이 달라졌다. 부작용이 크게 준데다 최적의 효과를 기대할수 있어서다. 먹는 당뇨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약에 따라 환자마다 기대할수 있는 약효가 다르게 나타난다. 담당 의사의 상담과 약효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설포닐요소계 약물=클로르프로파미드(한국화이자 다이아비네스) 글리벤클라미드(한독약품 다오닐) 글리클라지드(유한양행 다이아미크론) 글리피지드(유한양행 다이그린) 글리메피리드(한독약품 아마릴) 등이 국내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들 약은 췌장의 베타세포를 자극,인슐린이 분비되도록 유도하고 근육 지방 간에서 인슐린의 효과를 상승시킨다. 다만 베타세포의 기능이 어느 정도 살아있어야만 약효가 난다. 혈당강하 효과에서는 큰 차이가 없고 부작용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음식과 함께 복용하면 약효가 떨어지는만큼 일반적으로 식전 30분께 복용한다. 복약 시점을 놓쳤다면 식사중이나 식후에 먹어도 된다. 약효가 의외로 강하게 나타나 저혈당이 일어나는 것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이다. 신장기능 간기능에 장애가 있거나 설사 음주 불규칙한 식사 등을 하면 위험해질수 있다. 임신중이거나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은 태아 기형을 유발할수 있어 복용해서는 안된다. 한독약품 아마릴은 하루 한번 복용으로 저농도의 인슐린이 지속적으로 분비되도록 유도한다.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혈당 발생위험이 낮아 병원 처방 1위를 달리고 있다. 비구아나이드계 약물=이 계열의 약물 중 국내에서 주로 쓰이는 것은 메트포르민(대웅제약 굴루코파지)이다. 메트포르민은 인슐린 분비를 늘리지는 않지만 간이 포도당을 생성하거나 장이 당을 흡수하는 것을 억제,혈당을 떨어뜨린다. 적정 용량에서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고 식욕을 눌러 체중을 줄인다. 또 심혈관 질환자에게 치명적인 고인슐린 혈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만한 환자가 설포닐요소계 약물과 병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식욕부진 오심 설사 등의 부작용이 일시적으로 나타날수 있다. 복용량을 서서히 늘리면 이를 완화시킬수 있다. 단 신장 기능이 나쁘면 체내에 약물이 축적되므로 주의해야한다. 알파글루코사이다제 억제제=탄수화물 가운데 알파-결합한 이탄당을 일탄당(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가 알파글루코사이다제다. 이 효소를 억제하는 약으로 아카보스(바이엘코리아 글루코바이)와 보글리보스(제일제당 베이슨)가 있다. 이들 약은 이 효소에 높은 친화력을 발휘,포도당이 흡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이에 따라 당질 흡수가 지연돼 혈당이 급상승하는 것이 억제된다. 췌장을 자극하지 않으므로 인슐린의 과잉 분비도 유발하지 않는다. 배에 가스가 차는게 흔한 부작용이다. 보글리보스는 아카보스에 비해 이런 부작용이 적은 대신 혈당저하 효과는 다소 낮다. 인슐린작용증강제=트로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등이 있다.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인슐린처럼 작용해 혈중 포도당이 세포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인슐린이 충분히 분비돼도 혈당이 떨어지지 않는 만성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간 독성 때문에 아직 국내에 도입되지 않고 있다. 로시글리타존은 트로글리타존에 비해 이런 부작용이 적고 효과도 나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