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고려인삼의 위기

고려인삼은 '삼국사기''향약구급방'에 실려있는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경주지방에서는 이미 1천2백년 전에 자연산 인삼을 재배하기 시작했고 적어도 고려 고종연간(1214~1260)에는 인공적으로 산양삼(山養蔘)을 재배했다고 한다. 전남 화순군 동복면 모후산 일대가 재배인삼의 발상지이며 이 '동복삼(同福蔘)'을 개성 상인들이 가져다 재배해 개성이 인삼재배의 중심지가 됐다는 속설이 전해오지만 연대가 불분명하다. 단지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1552년 간)의 내용으로 미루어 그 시기에는 본격적인 인삼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될 뿐이다. '정조실록'에는 기업에 가깝게 인삼재배를 했던 박유철(朴有哲)이란 사람의 얘기도 나온다. 당나라의 8세기 중반 문헌인 '해약본초'에는 고려인삼은 붉은 실로 묶어 포장했다는 대목이 있어 이미 그때 인삼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가공술이 있었음을 엿보게 한다.또 1123년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는 '솥에 쪄서 말린 인삼이 약효가 더 좋다'는 기록이 남아 당시에도 홍삼을 만들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과거 한국은 인삼의 주산지였고 고려 조선시대를 통틀어 중국 일본과의 무역수지는 상당부분을 인삼이 지탱해 왔다. 구한말에도 인삼은 쌀 콩 밀 등과 함께 10대 수출품의 하나였다. 한·미수호조약 제8조 '미국인이라 하더라도 홍삼을 해외로 가지고 나갈 경우 처벌한다'는 조항은 특산물인 인삼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한국인삼 수출액이 지난 10년 동안 계속 감소해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인삼무역의 중심인 홍콩에서 한국인삼은 지난해 전체수입량의 3%에 그쳤다니 그 심각성을 짐작할만 하다. 국산의 5분의1 가격인 중국산 미국산 인삼과의 가격경쟁에서 밀린 탓이다. 전통만 뽐낼 게 아니라 재래식 생산방법 유통구조 품질유지책 등을 재고할 때다. 6년생 홍삼만을 최고품으로 고집하는 인삼공사의 편견도 버려야 한다. '고비에 인삼난다' 더니 그런 상상도 할 수 없는 난처한 경우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