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문명의 충돌

"냉전 종식으로 세계가 사상 처음 다극화 다문명화됐다. 경제와 사회의 현대화는 보편적 문명을 낳지 못하고 비서구사회를 서구화하는데 실패했다. 각국이 자기 문명권의 핵심국을 중심으로 뭉침에 따라 서구는 다른 문명,특히 이슬람권과 갈등을 빚는다. 이때문에 이슬람권과 비이슬람권 사이의 단층선이 주요 분쟁선으로 변하고 이는 '형제국의 규합'을 통한 확전으로 치달을 수 있다" 뉴욕 대참사 이후 연일 매스컴에 오르내리는 새뮤얼 헌팅턴 하버드대 교수(존 올린 전략문제연구소장)의 '문명충돌론' 요지다. 1993년 계간 '포린 어페어스'에 처음 발표된 뒤 대대적인 반향을 일으킨 이 이론에서 헌팅턴은 냉전시대 이후 세계 정치는 문화,특히 종교의 경계선을 따라 재편되고 이것이 새로운 갈등구조를 유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새로운 세계에선 '너는 어느 편인가'가 아니라 '너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이 중시되고 이같은 문화적 정체성에 따라 '우리'와 '그들'이라는 대립구도가 만들어지며 그 결과 문명전쟁이 터진다는 것이다. '이슬람 부활'을 종교개혁보다 더 큰 사건으로 보고 따라서 이로 인해 언제든지 문명전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 헌팅턴의 이론은 근래 '문명의 공존'을 쓴 독일의 뮐러 교수에 의해 비판받아 왔다. "냉전 종식으로 공산주의라는 적을 잃은 서구사회가 새로운 적을 통해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욕구에서 나온 이론"이라는 것이 뮐러의 주장이었다. 뉴욕 세계무역센터 폭파 테러와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 과연 헌팅턴 교수가 지적한 '문명의 충돌'인지 아닌지는 단정짓기 어렵다.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이 이슬람권과 기독교권의 문명충돌이라고 내세우는 가운데 정작 당사자인 미국에선 부시 대통령이 워싱턴의 이슬람 사원을 찾는 등 이번 사태를 어떻게든 문명충돌이 아닌 '테러 대 반테러'로 규정하려 애쓰고 있기 때문이다. 헌팅턴 교수 또한 이번 사건은 "광신집단의 야만적 범죄로 인한 것일 뿐 문명간 충돌은 아니다"라고 천명하고 나섰다. 이번 일이 정작 문명충돌로 비화됐을 때 발생할 엄청난 사태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탓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