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삶-소설속의 직업] (8) '소설의 질적향상 도움'
입력
수정
"한국문학은 작중인물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인데,특히 순수문학이라면 의당 피폐계층의 고민을 다루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팽배해 있다.
지금껏 한국문학의 영역에서 제외되었던 경제적 상층에 있는 인간상을 그려내야 한국문학이 질적으로 풍성해질 수 있다"
기업 경영인으로 있다가 40대 후반에 소설가로 변신해 장편 "거품시대"와 경제서 "무엇이 진정 한국을 추락시켰는가"등 경제 문제를 다룬 일련의 저작들을 낸 바 있는 홍상화가 최근의 한 문학 세미나에서 주장한 말이다.
소외 계층을 조명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는 데 특장을 보이는 것이 리얼리즘 소설인 만큼 노동자들이나 소시민들의 부로부터 소외된 삶을 다루는 소설의 양산은 필연적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운영되는 시스템을 체험화하는 과정이 없는 채로 그것에 대해 "구조적 비판" 운운하는 일은 대개 "자기만족"에 그치기 십상이다.
실제로 우리의 소설은 "봉급을 주는 층"에 대한 적의는 분명한데,그들 층 역시 자본주의라는 거대한 집의 한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단견"을 숨기지 못하는 예가 많다.
물론 경제적 상층에 있는 사람들을 조명한다고 해서 "가진 자"의 삶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될 수도 없을 것이다.
일례로 기업 홍보실에서 근무한 바 있는 작가 최용운의 최근작 "재벌에 곡한다"는 한 재벌 기업의 흥망사를 경영인과 그 주변 정치 경제계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그리면서 한국 "재벌 경제"의 모순을 입체적으로 부각시킨다.
"지금-우리의 삶"에 대한 총체적인 해석이라는 소설문학의 핵심적인 주제를 위해서도 우리 소설은 소외계층에 못지 않게 경제 일선에서 진두지휘하고 있는 경영 계층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어야 마땅하다.
박덕규(소설가.한성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