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고래싸움에 새우등만...
입력
수정
"삼성카드를 냈더니 다른 카드를 달라는 거예요.
다른 신용카드는 없다니까 그러면 백화점카드에 가입하라며 신청서를 내미는 겁니다.
가입신청서를 작성하는 사람도 있기는 했습니다만 정말 어처구니가 없더군요.
일언반구 예고도 없이 그럴 수 있는 겁니까"
롯데백화점이 삼성카드를 상대로 실력행사에 들어간 지난 10일 이 카드 회원이라는 한 독자는 전화를 걸어왔다.
아무런 영문도 모르고 주말 쇼핑을 나갔다가 매장직원에게 카드결제를 사실상 거부당하는 봉변 아닌 봉변을 당했다며 열을 올렸다.
롯데에 이어 11일 신세계백화점이 LG카드를 기피했고 12일에는 현대백화점이 삼성카드를 상대로 한 실력행사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특정카드 기피파문은 확산될 조짐이다.
백화점 업계는 신용카드회사들이 수수료 인하 문제에 소극적이어서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한다.
오죽하면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실력행사에 들어갔겠느냐는 반문이다.
하지만 고객과는 거의 이해관계가 없는 수수료문제가 발단이 된데다 실력행사에 들어가는 과정 또한 거대 백화점답지 않게 당당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 같다.
우선 백화점들은 실력행사에 나서기 전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적어도 기피대상 카드와 일정을 매장과 고객,신용카드회사에 미리 알렸어야 한다는 것.자사 홈페이지나 카드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예고할 수 있었는 데도 이를 게을리한 점은 고객을 안중에 두지 않는 처사로 오해받기 십상이다.
더욱이 일부 입점점포에서 특정카드를 기피당한 고객에게 자기 백화점 카드를 신청하라며 신청서를 내미는 친절행위(?)는 자칫 고객을 약올리는 행위로 비쳐질 수 있다.
백화점업계는 카드사와의 수수료 협상을 유리하게 끌기 위해 고객들에게 더이상 불편을 줘서는 안된다.
카드사들이 인하하자는 의견을 낸 만큼 인내심을 갖고 협상에 임해야 한다.
카드사들도 시일만 끌지 말고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
백화점과 카드사들이 자신들의 이익에만 집착하면 소비자들은 결국 양쪽에 다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
고기완 산업부 생활경제팀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