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진출 외국기업 '경영성과'] 선택과 집중..高수익 창출
입력
수정
지난해 경기침체에도 불구,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발군의 경영성과를 올린데는 높은 지명도와 탄탄한 기술력 등을 갖춘 세계적 기업으로서의 질적 차별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러한 다국적 기업으로서의 '후광' 외에도 △건전한 재무구조 △철저한 업종전문화 △합리적 관행 등 순수 경영내적 요인도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와 컴퓨터,소프트웨어 등 지난해 고전을 면치 못했던 IT(정보기술)업종 기업들의 경영 실적이 기계 석유화학 등 타업종에 비해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은데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 건전한 재무구조와 업종 전문화 =볼보건설기계코리아의 부채비율은 33.1%.
차입금의존도(총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는 0%.
외국계 기업들의 상당수가 거의 무차입경영을 하고 있다.
은행에 이자로 나가는 비용이 한푼도 없다는 얘기다.
노키아 역시 차입금 의존도가 0%며 한국에 진출한지 30년이 넘는 유한킴벌리도 순차입금이 47억원(부채비율 54%)에 불과하다.
차입금 비중이 높은 축에 드는 팹코전주의 경우도 부채비율은 1백26%, 차입금 의존도는 44.2%다.
국내의 우량기업과 비슷한 수준이다.
탄탄한 재무구조는 선택과 집중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각화보다는 한 두개 사업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놀라운 수준의 수익을 창출해 내는 것이다.
한국휴렛팩커드는 지난해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서버 등 고수익 제품의 판매에 집중한 대신 PC소모품 등 간접비가 많이 드는 소규모 매출은 대폭 줄였다.
그 결과 매출은 3천억원 가량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천2백억원이 증가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 하청생산에서 전략적 파트너로 =외국인투자기업은 해외 모기업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의외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모기업의 단순생산 하청기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영업망을 갖춘 또 하나의 전략적 생산기지로 탈바꿈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전력용 반도체를 주력 생산품으로 하는 페어차일드코리아는 모기업과의 거래비중이 16%에 불과하다.
모토로라코리아는 지난해 '클리오-800' 등 신제품의 매출부진으로 적자폭이 커졌으나 본사와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신제품 개발을 공동 추진하는 등 동등한 파트너로 자리잡고 있다.
르노삼성의 경우 비록 적자폭이 확대됐지만 매출이 5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EBITA(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는 2000년 마이너스에서 지난해 플러스 1천5백억원으로 바뀌었다.
오는 2003년까지 지급되는 일본 닛산자동차에 대한 기술사용료(판매가격의 2%) 부담에서 벗어나고 매출 증가세를 유지한다면 흑자로 돌아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