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아산신도시 이전 급물살] '脫수도권 유도' 정책 결실
입력
수정
한양대를 시작으로 서울시내 주요 대학들이 일부 학부 또는 연구시설을 아산신도시로 이전하는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서울시내 대학의 아산신도시 이전 작업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저렴한 땅값과 장기 분할상환 등 호조건을 내세운 정부의 대학유치활동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셈이다.
정부는 처음부터 아산신도시 개발성공 여부는 대학이전에 달려 있다고 판단해 왔다.
이 때문에 정부는 서울시내 대학, 특히 명문 사립대학을 유치하기 위해 공을 들여 왔다.
이들 대학들을 유치할 때 다른 대학들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대학들의 집단이전이 현실화될 경우 땅값을 지금보다 더 낮추는 등 파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시간이 갈수록 대학이전 행렬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 대학이전 급물살 배경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으로 서울과의 연계성이 좋아지는 아산신도시에 공공기관과 대학을 이전시켜 수도권 집중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복안이다.
이같은 방침에 따라 정부는 지난 1월말 아산신도시 조성계획을 발표한 후 곧바로 대학들을 상대로 유치활동에 들어갔다.
건교부와 아산신도시기획단 관계자들이 중심이 돼 지난 석달동안 대학들을 순회하며 설명회를 개최했다.
정부의 유치활동이 성과를 거둘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보다 저렴한 땅값에 힘입은 바가 크다.
한양대와 협의한 평당 25만원의 공급가격은 택지조성원가에도 못미치는 가격이다.
1단계 사업부지인 택지 공급가격(평당 50만원선)의 절반수준에 불과하다.
게다가 토지공급 시점으로부터 15년간 분할상환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었다.
넉넉지 못한 재정을 꾸려가는 대학측의 자금부담을 최대한 덜어주려는 노력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탄력적인 정부 대응자세도 한 몫을 했다.
당초 정부는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 교양학부를 이전시켜 시설과 강사진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안과 이공계통 대학만 집중 유치하는 방안 등 두가지 방안을 추진했다.
그러나 교양학부를 이전하는데 대한 대학들의 반응은 의외로 차가웠고 이공계통대학 이전에 대해서도 유보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공계통 연구소와 관련시설을 먼저 이전한 뒤 추세를 보아가며 결정을 내리려는 대학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쪽으로 유치전략을 수정했다.
◇ 전망 =아산신도시는 교통.산업.인력 인프라가 잘 갖춰져 대학입지 조건이 탁월하다.
이 때문에 서울시내 대학들의 이전 가능성이 높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다.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갖고 적절한 지원책을 병행하면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주장이다.
우선 아산신도시는 2004년 경부고속철도와 수원∼천안 전철 개통으로 교통여건이 대폭 크게 향상된다.
2004년 4월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천안에서 서울역까지 34분이면 닿을 수 있다.
통근시간만 보면 서울역에서 과천까지의 거리에 불과하다.
또 수원∼천안 복선전철화로 2004년부터는 서울 전철망과 연결된다.
수원에서도 천안까지 50분이면 도달할 수 있다.
산업.인력 인프라 여건도 양호하다.
이 일대에는 80년대부터 추진해온 아산.석문 등 국가산업공단 5개, 천안.오창 등 지방공업단지 12개가 밀집해 있다.
또 중앙대 단국대 등 5개 서울소재 대학 분교와 호서대 선문대 등 9개 지방대학이 들어서 있다.
대학생이 8만명, 교수진이 2천명을 웃돈다.
주거 직장 교육기능 등을 모두 갖춘 자족형 신도시로 발전할 여건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건교부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신도시안에 첨단과학 대학단지를 조성해 인근의 산업단지와 함께 산.학 연구벨트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대학이전에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