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연구원장 연임의 明暗
입력
수정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제외한 상당수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원의 원장들이 연임에 성공했다.
일부에서 제기해온 '대폭 물갈이' 주장과는 전혀 판이한 결과가 나온 셈이다.
원장 연임에 대해 정부쪽을 중심으로 한 과학계에선 "일관성 있는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현 임기 3년은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엔 너무 짧다는 설명이다.
과학기술부 관계자는 "연임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단기 실적 위주로 연구소가 운영될 위험이 크다"며 "출연연 원장은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책임지고 있는 만큼 소신있게 연구소를 운영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물론 출연연 원장 연임에 긍정적인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임이 최선인지는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원장 선정이 정말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이뤄졌는가'라는 의문 때문이다.
실제로 과학계에선 정부가 특정후보를 밀고 있다는 얘기가 공공연하게 떠돌았다.
원장 선발을 위한 이사진 구성에서 형식적으로 민간과 균형을 이루는 것처럼 돼 있지만 실제론 정부쪽에 유리하도록 짜여져 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원장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줄대기 현상도 빚어졌다.
일부에서는 정부 고위관계자와의 특별한 관계 등을 내세워 로비를 벌였다는 소문이다.
PR용 기사제공,얼굴 알리기등 언론을 상대로 한 실적홍보에 열을 올리기도 했다.
학연 지연 혈연등 모든 연줄이 동원됐다는 것이다.
일부에선 "원장 임기 동안 쌓은 인맥을 동원해 자리지키기에 몰두한 것 같다"고 꼬집었다.
원장을 그만둘 경우 당장 찬밥신세를 면할 수 없게 되는 상황에서 줄대기가 사라지길 기대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원장 연임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선발과정이 완전히 투명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말썽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객관적인 평가에 따라 원장을 선발하고,선발된 원장은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있게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
정부 당국자가 입버릇처럼 내뱉는 '과학기술자 우대'만으로 이공계 기피, 과학기술분야 위기를 벗어날 수 없다.
김경근 산업부 과학바이오팀 기자 choi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