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조건부 특별시민.. 강석천 <한국감정원장>

kabceo@kab.co.kr 사람들은 특별한 것을 좋아한다. 보통사람들도 특별한 대접받기를 좋아해 자신은 물론이고 자식이나 심지어 자기 소유의 자동차,토지,주택까지도 특별대접을 받아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오죽하면 '보통사람'이라는 말을 큰 자랑이라도 되는 것처럼 내세웠을까. 다른 사람의 재산을 평가하다보면 자신이 손수 지은 주택이라 하여,또는 애써 일궈낸 기업이라 하여 유난히 애착을 지니는 사람들을 자주 만나게 된다. 그러나 역사적 유물로서의 존재가치가 대단한 명문대가의 고가(古家)라 하더라도 경제적 가치평가 결과는 솔직히 그다지 특별하지 않다. 실현가능한 구체적인 '조건을 붙여' 평가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상황이라도 특별대우는 불가능하다. 그저 수요와 공급의 경제원리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될 뿐이다. 최근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영화 '집으로…'의 무대가 된 산골 토지는 김을분 할머니께는 미안한 얘기지만,그 가격이 갑자기 수직상승하듯 높아질 수 있다. 사람들이 몰려들고 상업성이 충족되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이 경우에도 먼저 표준가격에서 출발해 가격 형성 요인들이 하나씩 추가되면서 '공인가격'인 소위 '특별한 가격'으로 거듭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의 추억이 깃들인 정든 집,눈물과 땀으로 일군 논밭이 너무나 평범하게 평가되는 것에 많은 이들은 분명 섭섭함을 느낀다. 아쉽지만 인정(人情)은 공익과 정도(正道)를 해칠 수 있기에 감성적인 취향은 무시되고 도리 없이 이성적 기준에 따라서만 냉정하게 평가됨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여느 사람과 별로 다를 것이 없는데도 특별한 대우를 바라는 것은 어찌보면 그만큼 그 사람의 인생행로를 힘겹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상적인 보통사람의 기본바탕에서 출발해 점차 인격이나 성품 형성 요인들이 하나씩 추가되면서 다른 사람의 눈으로 보아도 확실히 '특별한 사람'이 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저 특별시에 산다는 것만으로는 '조건부 특별 시민'일 뿐이다. 진정한 의미의 '특별 시민'은 보통 시민의 사표(師表)가 되기까지 끊임없이 자기를 갈고 닦은 후에라야 공인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