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일자) 자동차업체 지금 흑자라지만...
입력
수정
우리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자동차산업이 잇단 노사갈등에 시달리고 있음은 안타까운 일이다.
현대자동차 노사가 두달간에 걸친 소모전 끝에 가까스로 임금협상을 타결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기아자동차가 부분파업에 들어가고,잔업과 특근을 거부중인 쌍용자동차는 오는 7일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해 본격적인 쟁의돌입 여부를 결정키로 하는 등 주요 자동차회사들의 노사관계가 심상치 않다.
이같은 노사갈등은 세계 자동차산업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궁극적으로는 '빅5'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정설이 되다시피하고 있는 현실에 비춰 특히 걱정스럽다.
올해 일본 자동차업계의 경영실적 호전에도 불구하고 도요타와 혼다자동차 노사가 기본급을 동결하고 성과급만 소폭 증액키로 합의한 것도 이같은 현실에 적응하려는 노력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IMF 경제위기 이후 국내 자동차업계의 경영실적이 호전돼 온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대부분 원·달러환율 상승과 특소세 인하조치에 따른 선수요 증가에 기인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아직도 생산성에 있어서는 종업원당 생산대수가 27대로 일본의 41대에 훨씬 못미칠 뿐더러 품질 기술 부품산업기반 등 거의 모든 경쟁력 부문에서 선진국 수준에 뒤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볼 때 조금 흑자를 냈다고 자만할 일이 아니다.
우리 자동차산업이 무한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무엇보다도 노사관계가 생산적으로 바뀌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노사관계가 선진화되지 않고서는 '생산방식 개혁'이라는 우리 자동차업계의 당면과제는 해결될 수 없다.
자동화가 진행될수록 다품종소량생산과 자동화설비에 대응하기 위해 높은 숙련작업자가 필요하지만 숙련교육을 제도화하기 위한 '직능자격제도'마저 노조의 반대로 아직도 도입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자동차산업이 생산대수로는 작년에 세계 9위권에 진입했다고 하지만 환율급락과 함께 미국 경제가 불안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도 주목해야 할 상황변화이다.
더욱이 외국자동차회사들의 국내시장 점유율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 현상 역시 노사 공히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다각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일이다.
어느모로 보나 눈앞의 작은 이익을 놓고 노사가 힘을 소진할 때가 아니다.
최고가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는 상황에서 자동차산업 노사가 전력투구해야 할 최우선 과제는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키우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