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사후관리 대책 중요".. 삼성硏

월드컵 대회의 경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후 관리'가 중요하며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렀다고 해서 경제적 번영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0일 '월드컵 이후의 8대 핵심과제'라는 보고서에서 월드컵 개최로 약 4조원의 부가가치가 발생,경제성장률이 0.74%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월드컵의 '사후 관리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또 국제축구연맹(FIFA) 순위 1,2위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축구를 잘하는 것과 경제 번영은 별개'라고 꼬집었다. 연구소는 아르헨티나(78년)와 멕시코(86년)가 월드컵을 개최했던 해에 각각 마이너스 3.41%와 마이너스 3.12%의 경제성장을 기록했던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에서도 서울올림픽이 열린 지난 88년 소비자물가가 전년(3.1%)에 비해 두 배를 웃도는 7.1%나 급등했고 이후 주가 부동산 등 자산 과열과 최악의 노사분규가 발생한 사실도 상기시켰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