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합병통한 대형화 '새 수익창출 주력해야'

"은행합병은 몸집 불리기에 그쳐선 안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초점을 둬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제2차 은행합병과 관련, 프랑스 영국 등 유럽지역의 합병은행 관계자들은 이렇게 충고했다. 이들은 또 "합병이든 지주회사 형태든 통합의 형식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견해도 밝혔다. 2차 은행 합병을 앞두고 돌아본 유럽지역 합병은행들의 실태와 그들이 전하는 교훈을 소개한다. ◆ 합병은 세계적 흐름 =은행간 합병은 지난 95년부터 시작돼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북미지역의 경우 지난 95년 NBD은행과 퍼스트 시카고은행의 합병을 시작으로 체이스맨해튼-JP모건(2000) 등 지난해까지 모두 25건의 은행간 합병이 이뤄졌다. 유럽에서도 지난 95년의 영국 TSB그룹과 로이드뱅크 합병을 비롯 스페인 BS-BCH(1999), 프랑스 BNP-파리바(2000) 등 지난해까지 22건이 진행됐다. BNP파리바의 필립 아규니에 부행장은 "유럽 은행들은 새고객 확보, 대형화에 따른 IT(정보기술) 등 비용절감 효과와 새로운 전략적 기회 포착 등 잠재적인 합병의 장점들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 은행합병의 원칙 =매킨지컨설팅의 매트 베키어 파트너는 은행간 합병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외형확대를 위한 합병이 아니라 가치창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합병초부터 1백% 완벽한 전산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삼으면 통합기간이 길어지고 시너지 창출에 어려움이 발생한다며 처음에는 70% 정도만을 목표로 솔루션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BNP파리바 관계자는 합병발표후 대부분의 직원들이 향후 자신의 거취 등에 따른 불안감 때문에 실적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며 합병에 따른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기존의 사업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BSCH의 한 임원은 두 은행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합병의 성패를 좌우한다며 직원들과 경영진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의사소통을 할 필요가 있다고 권했다. 파리=이성태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