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등급 'A' 회복] 해외변수 대응능력 높여야
입력
수정
전광우
미국의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9월 실사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로 한 단계 상향조정했다.
이로써 한국은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게 돼 '환란국가'라는 오명을 벗고 국제적으로 신인도를 회복하게 됐다.
이번에 신용등급이 상향조정된 것은 △1천1백50억달러에 이르는 외환보유액 △1만2백달러로 추정되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GDP 대비 28%에 지나지 않는 대외 채무비율 △GDP의 20% 수준인 정부 부채비율 등 선진국 수준에 근접한 거시경제 지표와 금융부문의 구조개혁 성과가 높게 평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엔론사태 등 회계부정 사건으로 미국 증시가 추락하고 세계 경제가 불안한 가운데 한국의 신용등급이 실사도 거치지 않고 상승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불투명한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의 차별성과 충분한 성장잠재력을 국제 사회가 인정한 셈이다.
한국은 국가신용등급이 3대 평가기관으로부터 모두 'A'를 받음에 따라 JP모건의 신흥시장채권지수(EMBI+) 대상에서도 제외됐다.
이로 인해 앞으로 해외차입비용이 줄어 들고 외국인의 직접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과거 우리는 너무 일찍 샴페인을 터뜨려 그간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어 버린 아픈 기억이 있다.
한국의 국가신용도가 A등급을 받았더라도 1997년말 외환위기 이전보다는 여전히 2∼3단계 낮은 수준이다.
또 미국발 금융위기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경제체질 개선과 경쟁력 강화라는 숙제들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