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KOREA] 제1주제 : 포터 '보고서'로 본 日 경우
입력
수정
일본의 10년 장기불황 원인은 무엇일까.
정부의 부동산정책 실패,일본 금융부실 등 여러가지 요인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전략경영 대가인 마이클 포터는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천시와 그에 따른 전문인력 부족을 경쟁력 상실의 주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는 지난 8년간에 걸쳐 일본경제 추락 원인을 조사,내놓은 '일본 경제 위기보고서'(마이클 포터저 세종연구원간)를 통해 일본의 경쟁력은 교육의 실패와 정부의 정책실패에 따른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우선 그는 숙련된 기술인력의 부족이 첫째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일본의 대학들이 전기공학이나 산업공학 전공자들을 많이 배출하면서도 실적 나쁜 산업부문인 화학공학 소프트웨어 항공공학 등의 분야에서는 놀랄 정도로 취약하다는 것이다.
특히 화학 항공 소프트웨어 분야 산업들은 항상 인력부족으로 인한 연구결핍증에 시달려왔으며 결과적으로 신제품을 내놓지 못했다.
생명공학 분야의 경우 일본 대졸자수는 96년 1천8백75명에 불과하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 6만2천명에 이른다는 것이다.
둘째 대학교육의 부재를 꼽고 있다.
미국의 경우 대학이 기업체와 밀접하게 연관돼 창의적인 기술 연구의 중심이 되고 있으나 일본 대학은 자금 결핍과 낙후된 시설 등으로 건실한 연구 프로그램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
연구 초점은 창의적인 기초과학보다는 응용작업에 맞춰져 있으며 교직원들의 승진은 연공 서열에 얽매여 있다.
셋째 기업내부에서도 기술인력 혁신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일본의 인력활용시스템이 느슨한 직무영역구분이나 직장내 순환보직제 등으로 전문가 양성에 실패했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간 공동연구 프로젝트는기업의 기술자립 의지를 잠재우고 차별화를 없애며 기업 전략을 엇비슷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의 관료중에는 이공계 출신이 아주 적다.
고등고시에서 이공계 채용비율은 약 55%를 차지하고 있지만 국장급(1~2급)으로 올라가면 그 비율은 13%로 줄고 차관급에서는 3%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과학기술 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를 법상경계가 차지하는게 일본의 실패 원인의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