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공시 제도] 부작용 우려 .. 증권가 반응

공정공시 제도 도입에 대해 증권가에서는 원칙에는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부작용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특히 정보 유통량이 줄어들고 유통속도도 늦어져 '정보갈증' 현상에 시달린 투자자들이 음성적 정보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우리증권 신성호 이사(리서치센터장)는 "공정공시제도 도입으로 정보가 차단되면 제도의 취지와는 달리 증시 루머만 양산하게 될 우려가 있다"면서 "기업들이 주가에 긍정적인 정보만 선택적으로 투자자들에게 공시하고 악재는 공시하지 않을 경우 정보의 비대칭성이 오히려 심화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신 이사는 "상장.등록 기업들이 애널리스트나 투자자들의 질문을 받으면 곧바로 답변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하는 등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우증권 홍성국 투자분석부장은 "경기 및 기업실적에 선행하는 주가의 속성을 감안할 때 그때그때의 주가 변화를 분석하고 대응하기 어려워지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장은 "기업의 정보유통이 제한되면 분석력이 있는 애널리스트의 영향력은 커지고 그렇지 못한 애널리스트는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많다"면서 "공시를 꺼리는 보수적인 기업과 IR 활동에 적극적인 기업간의 주가 차별화도 예상해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