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유럽 금리인하 압력 고조..소비자 신뢰지수 폭락.경제성장 전망치 하향

미국과 유럽에서 금리인하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통화 확대론이 강하다. 세계경제의 회복력은 약해지고,디플레조짐까지 겹치고 있어 금리인하와 통화 공급확대가 세계경제의 동시침체를 막는 유일한 처방이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불가피해진 미 금리인하=미국은 국민들의 향후 씀씀이를 보여주는 소비자 신뢰지수가 추락하고 있다. 민간 경제조사기관인 컨퍼런스보드는 29일 10월 중 소비자신뢰지수가 전달의 93.7에서 9년 만의 최저인 79.4로 추락했다고 발표했다. 이 지수의 급락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70%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이 감소,미 경제가 더블딥(짧은 회복후 재침체)에 빠질 수 있는 위험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이날 나스닥지수가 1.2% 하락하고,달러가치도 1백22엔대로 떨어졌다. 베어스턴스 모건스탠리 등 금융회사들은 소비자 신뢰지수의 폭락으로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현재 1.75%)인하가 임박했다고 예상했다. 인하시기는 내달 6일,인하폭은 0.25% 포인트로 보고 있다. ◆금리 인하압력이 고조되는 유로존=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유로존의 경기하강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유럽중앙은행(ECB)에 대해 금리인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IMF는 유로존 경제보고서를 통해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달의 0.9%에서 0.75%로 하향 조정한 뒤 "물가안정보다는 경기진작이 ECB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독일의 산업생산이 감소하는 등 유로존의 경기둔화 기미가 역력하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유로존 인플레가 현재 2.1%로 억제목표치(2%)를 살짝 넘는 수준이어서 물가불안의 우려는 크지 않은 편"이라며 "경기회복을 위해 ECB는 연내에 금리를 현행 3.25%에서 3%로 내려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일본은 금융완화로 정책 선회=금리가 0.1%로 사실상 제로금리인 일본에서는 더 이상 금리를 내릴 여지가 없다. 때문에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금리인하에 버금가는 효과를 낼 수 있는 신규 국채발행 등 통화공급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 상반기 중 회복세를 보였던 일본경제는 지난달 산업생산이 0.5% 줄고 수출도 2.3% 감소하는 등 다시 침체기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중앙은행이 30일 월간 장기국채 매입규모를 1조엔에서 1조2천억엔으로 상향 조정하는 한편 당좌예금 잔액목표를 현행 10조~15조엔에서 15조~20조엔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만장일치로 결정한 것도 이같은 현실인식의 반영이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