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자위수단 강구" 美에 정면대응 .. 협상가능성은 열어놔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30일 미국의 '맞춤형 봉쇄'에 맞서 핵비확산조약(NPT) 탈퇴를 경고하면서 '자위적 수단'을 언급했다.

이는 핵무기 개발을 암시하는 것이어서 북핵 파장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만들고 있다.

북한은 그러한 가운데서도 "대화의 문은 열어 놓겠다"고 밝혀 북.미간 타협의 여지를 열어두고 있다.

◆ 북한의 의도 =북한이 NPT 탈퇴를 경고하고 나선것은 미국이 북한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킬 경우 막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시위성의 성격이 짙다.

전문가들은 북측이 최고 수위의 카드를 꺼내들어 미국을 협상장으로 앉히려는 의도라고 풀이하고 있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이날 "북한의 NPT 탈퇴는 최후의 카드"라면서 "아직은 이 카드를 쓸 단계는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내달 6일 예정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긴급이사회에서 북핵 문제를 유엔 안보리로 회부할 경우 NPT 탈퇴 선언이라는 카드를 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대화.중재 기대 =북한은 성명 말미에 "어느 나라든 미국으로 하여금 전제 조건없이 우리와의 대화에 나오도록 응당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북.미간의 대화 중재역을 찾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콜린 파월 미 국무부 장관도 "대북 대화의 채널이 열려있다"고 말해 양측이 막판에 마주 앉을 가능성도 엿보인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